▲박태성 북한 내각 총리(맨 오른쪽)가 평안남북도의 대동군, 문덕군, 숙천군, 증산군, 평원군, 정주시의 농장들을 방문해 가을걷이(추수)를 비롯한 당면한 영농공정 등을 요해(파악)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1일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출처=연합뉴스)
 ▲박태성 북한 내각 총리(맨 오른쪽)가 평안남북도의 대동군, 문덕군, 숙천군, 증산군, 평원군, 정주시의 농장들을 방문해 가을걷이(추수)를 비롯한 당면한 영농공정 등을 요해(파악)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1일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출처=연합뉴스)

북한이 수확한 곡물의 분배와 관련해 "더 많이 일한 사람에게 더 많은 몫을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1일 농촌의 결산분배 소식을 전한 1면 기사에서 "여러 농장에서 풍년 결산분배가 앞을 다투어 진행되었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평양 강남군 고천농장의 경우 평소 "농업 생산력이 미약하여 해마다 생산계획을 미달"했지만, 이번엔 "떠들썩하게 결산분배"를 했다고 소개했다.

이어 '평균주의는 사회주의 분배 원칙과 인연이 없다' 제목의 3면 기사에서 "평균주의적인 평가는 근로자들의 생산 열의를 떨어뜨릴 뿐 아니라 건달꾼을 서식시키는 온상"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더 많은 일을 하고 더 많은 기여를 한 사람에 대하여서는 응당 많은 몫이 차례지게(돌아가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결산분배는 가을걷이를 마친 뒤 정부와 농민이 각자의 몫을 나누는 과정이다.

생산에 투입된 인력의 가치를 '공수'(工數)라는 단위로 정량화해 공수를 많이 쌓을수록 분배도 많이 해준다.

특히 올해는 농민의 몫을 늘리는 쪽으로 결산분배 방식이 바뀌었을 가능성이 있다.

지난 8월 농장결산분배법이 채택됐는데, 내용이 공개되진 않았지만 결산 분배를 개선해 농장원의 생산 의욕을 높인다는 게 입법 취지이기 때문이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집권 초기인 2012년 6월 28일 농업개혁 조치로 '분조관리제 하의 포전담당책임제'를 도입했다.

핵심은 생산한 곡물 중 국가가 제공한 영농물자 비용만큼만 정부에 반납하고, 나머지는 농민들이 현물로 받아 시장가격 수준으로 처분할 수 있게 한 점이다.

과거에는 농민들에게 1년치 식량 정도만 주고 나머지는 시장가격과 괴리된 국정가격을 기준으로 현금 분배해 농민들의 불만이 컸다.
북한 축산공무원 출신 농업전문가 조충희 굿파머스 소장은 "농민들은 현금보다 현물 분배를 선호한다. 가을에는 곡물을 보유하고 있다가 가격이 오르는 봄철에 비싸게 팔고 싶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북한의 작황은 예년보다 태풍 피해가 적었던 덕에 다소 개선됐을 가능성이 있다.

미국 농무부(USDA)가 9월 발표한 '2025∼2026 양곡연도(2025년 11월 1일∼2026년 10월 31일) 북한 계절 곡물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북한의 조곡(도정하기 전의 벼) 생산량은 227만t으로 전망됐다.

이는 전년과 같은 수준이지만 직전 5년 평균에 견줘 5% 늘어난 양이다. 옥수수 수확량은 직전 5년 평균보다 1% 증가한 230만t으로 예상했다.

보고서는 "올해 북한 강수량이 계속 평균 이상으로 유지돼 5∼7월 파종과 작물 성장에 유리한 환경이었다"며 "적합한 강우와 관개시설 공급이 지속되면 쌀과 옥수수 생산성이 예상보다 높을 수 있으며, 이는 북한의 식량 안보 강화로 이어질 것"이라고 관측했다.

출처=연합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