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로 98주년을 맞는 삼일절. 기독교를 비롯한 종교계 지도자들이 앞장섰던 삼일운동은 한국역사는 물론 세계사적으로도 커다란 의미가 있는 '사건'이었다. 그런 점에서 이만열 교수는 "3·1운동은 '3·1혁명'이란 용어로 대체되는 것이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제98회 3·1절을 맞아, 3·1운동의 역사적 의의와 세계 역사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는 자리가 마련됐다.ⓒ데일리굿뉴스
  
'자주독립' 위한 국민들의 열망이 담겨져…
 
한국기독교역사학회는 23일 서울 종로구 태화빌딩에서 '3·1만세운동과 종교계'란 주제로 3·1운동 100주년 기념 준비 학술심포지움을 개최했다.

이날 '3·1만세운동과 종교계의 역할'이란 주제로 발제한 이만열 교수(숙명여대 명예)는 3·1운동이 한국역사화 세계사에 미친 영향에 대해 재조명했다.

그는 3·1운동을 '일제의 강점을 거부하고 자주독립을 찾으려는 거족적인 독립운동'으로 평가했다. 
 
이 교수는 "일제가 3·1운동 후에 형식적으로나마 무단통치를 폐지하고 문화통치를 표방하게 된 것은 이 운동으로 강점 후 10년 간의 통치 자체에 심대한 타격을 받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3·1운동 이전의 국권회복운동과도 큰 차이를 드러낸다. 3·1운동 이전에는 국왕과 양반이 주인이 되는, 일종의 전근대적인 봉건사회로 회귀하는 것이 목적이었다면, 3·1운동은 백성이 주인이 되는 나라를 열망한 운동이었다는 것.
 
이어 이 교수는 "'백성이 주인이 되는 나라'라는 이념에 따라 건립된 것이 대한민국이며, 이를 운영하기 위한 정부가 임시정부인 것"이라며 "백성이 주인이 되는 정부를 건립하자는 운동은 대한민국 역사 상 유례 없었던 '혁명'적 사건"이었다고 역설했다.

강대국 위주의 세계질서에 최초로 도전한 운동
 
이만열 교수는 세계사적으로도 3·1운동이 큰 획을 그었다고 평가했다. 3·1운동이 제1차 세계대전후 강대국에 의해 재편되고 있던 새로운 제국주의적 세계질서에 대해 최초로 도전한 운동이었다는 것이다. 

그에 따르면, 당시 제1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전승국이 패전국에 대해 전쟁의 책임을 과중하게 부과시켰고, 패전국 식민지에 대한 처리방안도 전승 강대국에 유리하도록 조성되고 있었다. 그런데 3·1운동은 이 같은 세계질서의 재편과정에서 새롭게 등장하고 있던 강권·침략주의에 정면으로 도전한 사건이라는 게 이 교수의 견해다. 
 
이 교수는 "한민족은 3·1운동을 통해 전승국인 일본에 저항하며, 전승국의 이익을 튼튼히 담보하기 위해 성립됐던 세계질서에 도전했던 독립운동이었다"며 3·1운동의 세계사적인 의미를 높게 평가했다.
 
그러면서 그는 "일제강점기에 끊임없는 항일 투쟁을 벌일 수 있었던 것은 백성이 주인이 되고자 했던 국민들의 자주정신 때문이었다"며 "국가를 지키고자 했던 국민들의 정신은, 끝끝내 국민 스스로가 그토록 원하던 정부를 만들게 됐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끝으로 "한국의 민주운동은 3·1운동을 계기로 확연하게 드러났다"며 "그런 의미에서 3·1운동은 선진들이 이미 사용해 왔던 '3·1혁명'이라는 용어로 대체되는 것이 마땅하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