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청년 가구 10명 중 7명이 1인 가구로 나타났다. 이 중 절반은 월세로 살고 있어 주거비 지원과 공공임대 공급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1인 가구 대다수가 월세 형태로 거주하고 있다.(사진 출처=연합뉴스)

18일 국토연구원이 공개한 ‘1인 가구 연령대별 주거취약성 보완 방안’ 보고서를 보면, 전체 가구 수에서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2005년 19.3%(299만4천 가구)에서 2019년 29.2%(565만 3,000 가구)로 10%포인트 넘게 늘었다.

보고서는 "과거와 달리 1인 가구는 보편적 가구 형태로 자리잡고 있다"며 "연령대를 비롯한 1인 가구의 주거취약 특성별로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특히 20대와 30대 초반 청년 가구 중 1인 가구 증가가 도드라졌다. 20대 1인 가구 비중은 2005년 51.5%에서 2019년 73.2%로 뛰었고, 30대도 같은 기간 17.5%에서 33.1%로 2배 가까이 늘었다.

청년 1인 가구 10명 중 3명은 주거비로 월 소득의 30% 이상을 지출하는 주거비 과부담 가구였다. 월 소득 대비 임대료 비율을 나타내는 피아이아르(PIR)가 30%를 초과하면 주거비 과부담 가구로 보는데, 이 비중이 청년 1인 가구는 31.4%로 일반가구(26.7%)나 1인가구 평균(30.8%)보다 높았다.

이는 초기 자산이 없어 전세보다 월세로, 월세 중에서도 보증금이 낮고 월세가 높은 형태로 거주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청년 1인 가구 점유형태를 보면 월세가 65.5%로 가장 많았다. 중장년 1인 가구(51.1%), 노인 1인 가구(27.5%)와 비교해도 비중이 크다. 전국 일반가구(23%)보다는 3배에 달한다.

공공임대 입주 비율도 청년 1인 가구는 1.6%로 중장년(2.1%), 노인(2.9%)보다 낮았다. 보고서는 “청년 1인 가구엔 경제적 자립·생애 이행을 지원하기 위해, 현재 주거급여를 넘어서는 주거비 지원을 검토해야 한다”며 “청년 대상 임대주택 등 다양한 공급 확대 노력도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중장년층의 경우 민간임대에 거주하는 저소득가구 중 25.8%는 최저주거기준에 미달하는 집에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16.2%), 노인(20.4%)보다 높았다.

고시원 등 ‘주택 이외 거처’에 살고 있는 비중도 16.6%로 전체 연령대 중 가장 높았다. 보고서는 “주택의 질적 수준이 낮은 중장년층은 양질의 주거를 제공하는 주거상향 방안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