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성애가 특혜"...인천 퀴어축제, 도로 점유로 민폐

2.7km 구간 번화가 2시간 이상 통제 체증 극심· 인근 상인 매출 하락 피해

2022-10-15     이새은 기자
▲ 인천퀴어문화축제조직위는 ‘제5회 인천퀴어문화축제’를 15일 인천시 남동구 중앙공원 일대에서 개최했다.  ⓒ데일리굿뉴스

[데일리굿뉴스] 이새은 기자 = 지자체의 장소 사용 불허 결정에도 불구하고 15일 인천에서 퀴어축제가 강행됐다. 이날 행사로 인해 대규모 교통 통제가 이뤄져 시민들과 인근 상인들의 불만이 터져나왔다.

인천퀴어문화축제조직위는 이날 ‘제5회 인천퀴어문화축제’(이하 퀴어축제)를 인천시 남동구 중앙공원 일대에서  개최했다. 행사에는 동성애자, 트렌스젠더를 비롯한 성 소수자들과 관련 단체  등 400여 명이 참여했다.

인천 경찰청은 퀴어 퍼레이드가 진행되는 오후 4시부터 6시경까지 예술로‧문화로‧인주대로 일대 차량 통행을 제한했다.

퍼레이드 참가자들은 중앙공원에서 시작해 중앙공원 사거리와 올림픽공원 사거리, 문예회관 사거리를 지나 터미널 사거리까지 갔다가 다시 중앙공원으로 돌아왔다. 해당 동선은 2.7㎞ 구간에 달하며, 평소에도 유동인구가 많은 곳이다.

퍼레이드를 위해 경찰은 20개 기동중대 1,000여 명과 교통경찰관 150여 명을 현장에 투입했다. 또한 집회와 행진 장소 주변에 현수막 46개, 입간판 11개를 설치하고, 교통방송으로 실시간 교통상황을 공유했다.

극심한 교통체증이 지속되자 인천경찰청에서는 "운전자들은 행진이 예정된 도심권을 우회해 경원대로·남동대로·호구포로를 이용하고 가급적 지하철 등 대중교통을 이용해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 제5회 인천퀴어문화축제 퍼레이드 행진 모습. ⓒ데일리굿뉴스

퀴어축제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지역 주민들에게 돌아갔다. 시내버스 우회 운행으로 인해 도착 지연과 차내 혼잡이 빚어져 대중교통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었다.

보행자와 운전자들도 예외는 아니었다. 교통 통제로 인해 일부 차량은 두 시간 이상 꼼짝도 못한 채 퍼레이드가 끝나기만 기다려야 했다.

시민 A씨는 “인천시 중심부라 평소에도 교통이 복잡하고 더군다나 주말이라 최악”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도로를 몇 시간씩 막는 주최 측이 이기적으로만 느껴진다”고 원성을 높였다.

인근 주민 B씨 또한 “일반적 행사와 달리 유독 퀴어축제만 도로를 점유하고 막대한 경찰 인력을 투입한다”며 “차량과 사람들을 막아 일반 시민들에게 피해를 끼치면서까지 특별 대우해주는 이유가 궁금하다”고 꼬집었다.

퀴어축제 장소 인근 상인들도 울상이었다. 도로 통제에 따른 매출 하락으로 금전적 피해가 막심했기 때문이다. 특히 차량 통제시간이 저녁 시간대와 맞물려 요식업자들의 피해가 특히 컸다.

고깃집을 운영하는 자영업자 C씨는 “저녁 식사 손님이 오기 시작하는 시간대에 도로를 막아버리니 오늘 장사는 망한 것이나 다름없다”며 “대한민국에 집회의 자유가 있다지만 우리 상인들에게도 영업을 방해받지 않을 권리가 있다”고 울분을 토했다.

▲ 경찰이 차량을 통제하는 모습. ⓒ데일리굿뉴스
▲ 경찰이 차량을 통제하는 모습. ⓒ데일리굿뉴스

경찰 조치를 두고 동성애자들이 ‘인권’을 명분으로 누리는 특혜라는 지적도 나왔다. 퀴어축제를 위해 과도한 경찰 인력 투입과 시민들의 불편을 외면한다는 이유다. 실제로 이날 인근에서 진행된 ‘제58회 인천 시민의 날 기념행사’만 하더라도 도로를 점유하거나 경찰인력을 동원하는 모습을 보기 어려웠다.

심지어 이번 인천 퀴어축제는 지자체의 불허에도 불구하고 강행한 행사였다. 앞서 인천퀴어문화축제조직위는 올해 인천대공원사업소에 중앙공원 장소 사용을 신청했다가 거부당했다.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49조 3항에 의거해서다. 해당 조항은 '심한 소음 또는 악취가 나게 하는 등 다른 사람에게 혐오감을 주는 행위'가 제한 대상임을 명시하고 있다.

차승호 퀴어집회반대연합위원회 대표는 “퀴어축제 측이 지자체 허가조차 못 받았는데도 다들 이를 눈감아 주고 있다”며 “‘인권’을 명분 삼아 막무가내로 행동하고 있는 모양새”라고 꼬집었다.

한편 인천퀴어축제는 과거에도 개최하는 과정에 문제가 있었다. 2018년도에 개최된 ‘제1회 인천퀴어문화축제’ 또한 지자체가 광장 사용을 허가하지 않았지만 당시에도 조직위는 집회신고만 하고 행사를 강행했다.

▲ 인천퀴어축제가 개최된 인천시 남동구 중앙공원 일대는 교통 통제 및 정체에 대한 안내 현수막이 걸렸다. ⓒ데일리굿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