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 '범죄도시'(사진출처=연합뉴스)
▲ 영화 '범죄도시'(사진출처=연합뉴스)

[데일리굿뉴스] 박건도 기자 = 3월 21일은 세계 인종차별철폐의 날이다. 62년 전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인종분리정책 반대 시위대 69명이 경찰의 발포로 사망하는 사건이 계기가 됐다. 국제연합(UN)은 1965년 12월 '인종차별철폐협약'을 채택하고 이듬해에는 3월 21일을 '세계 인종차별철폐의 날'로 선포했다.

우리나라는 인종차별철폐협약을 1978년 비준하고, 1980년부터 협약 이행을 위한 입법·사법·행정 조치에 관한 보고서를 제출해왔다. 올해 우리나라는 UN에 제20차·21차·22차 통합보고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하지만 오랜 기간 노력에도 차별과 혐오는 우리 일상에서 똬리를 틀고 다른 말투와 생김새를 노려보고 있다.   

2020년 3월 국가인권위원회가 발표한 '한국사회의 인종차별 실태와 인종차별 철폐를 위한 법제화 연구 보고서'를 보면 결혼이민자와 동포, 난민, 유학생, 이주노동자, 탈북민 등 이주민의 68%가 "인종차별이 존재한다"고 답했다. 

차별이 존재한다고 응답한 이들 대부분은 언어 구사 능력과 출신국, 말투를 이유로 꼽았다. 서구의 인종 차별과 다르다. 서구가 피부색과 같은 생물학적 이유로 인종을 차별하는 반면 우리는 일상적 이유로 차별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중국동포(조선족)에 대한 시선이 유독 따갑다. 최근 강력범죄 사건 피의자로 보도되거나 이를 소재로 한 영화까지 나오면서 부정적 인식이 확산됐다. 

영화 '황해'(2010년)와 '신세계'(2013년), '차이나타운'(2014년), '청년경찰'(2017년), '범죄도시'(2017년) 등 흥행과 화제성 면에서 좋은 성적을 거둔 이들 영화 모두 중국동포를 `무자비한 범죄자'로 묘사하고 있다.

2019년 재외동포에 대한 내국인 인식조사에 따르면 거주국별 동포 호감도에서 중국동포는 일본보다 낮은 6위에 머물렀다. 코로나19 이전에 조사가 진행된 점을 고려한다면 현재는 이보다 떨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범죄 관련 기사에도 범인이 조선족으로 의심된다는 댓글이 심심찮게 달린다. 지난 2018년 강서 pc방 살인 사건을 다룬 기사 댓글에서도 "아이디를 보니 중국어 이름으로 되어 있었던 것 같은데", "한국인인척 넘어가네", "조선족 특유의 범죄 수법이다" "피의자 부모가 올해 귀화한 조선족이다" 등 혐오표현이 도배됐다. 

하지만 2016년 경찰청 자료에 의하면 인구 10만 명당 중국 동포 범죄율은 한국인 범죄율보다 낮다.

동포가 인종을 이유로 차별이나 혐오 대상이 되는 것에는 어폐가 있지만 거주 인원이 많은 만큼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게 현실이다. 2020년 통계청 국내 체류 국적별 외국인 현황에 따르면 중국동포는 70만 8,000명에 달한다. 경기도 안산시 인구(약 65만)보다 많다. 

중국 동포 혐오는 코로나19 이후 심해진 모양새다.  

한 맘카페 회원은 "입주 이모님이 조선족인데 우한 폐렴 때문에 너무 걱정된다"는 글을 남겼다. 또 다른 회원은 "혹시 몰라서 청소도우미를 한국 분으로 요청했다"고 했다.

법무부 지정 동포지원센터를 운영하는 한중사랑교회 서영희 목사는 "언론과 미디어가 동포들을 부정적으로 묘사할 뿐 긍정적인 모습을 다루지 않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서 목사는 중국동포를 우리 사회가 지불해야 할 '비용'으로 보지 않고 '기회'와 '가능성'으로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동포들은 낮은 인건비를 받으며 우리 산업의 발전을 이끌어 왔다"고 주장하며 “이들을 우리 사회의 일원으로 인정하고 포용하면 장기적으로 국익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