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배터리 공급 부족 예상 시점이 1∼2년 앞으로 다가오면서 자동차 업체와 배터리 업체는 합작법인 설립을 통한 '윈-윈' 전략으로 치열한 경쟁을 대비하려는 모습이다. 업계는 전기차 시장의 성장세를 고려했을 때 배터리 업계 합작법인 설립 흐름은 계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 배터리 3사(사진제공=연합뉴스)

늦어도 내후년에는 배터리 대란 예상

4일 업계와 시장조사기관에 따르면 이르면 내년, 늦어도 내후년에는 배터리 물량 부족에 따른 '배터리 대란'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SNE리서치는 오는 2024년을 배터리 공급 부족 시점으로 봤지만, 올해 완성차 업체의 공격적 투자 발표를 볼 때 이 시점이 3년 가량 앞당겨질 수 있다는 관측이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이미 일부 완성차 업체는 배터리 부족을 호소하고 있다"며 "배터리 공장 실가동률을 고려하면 공급량은 통계보다 훨씬 적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올 2월 영국 자동차 업체 재규어는 LG화학의 배터리를 원하는 만큼 공급받지 못해 가동을 일시 중단하기도 했다.

중국 배터리 업체의 경우 2022년 정부 보조금이 없어지면 투자 계획이 무산되거나 축소될 가능성도 커 향후 공급 물량이 예상보다 적을 수 있다. 특히 중국 배터리 업체 중에는 유럽, 미국 지역 유력 완성차 업체가 요구하는 품질 수준을 맞출 수 없는 기업도 많을 것이라는 게 업계의 추정이다.

완성차-배터리 업계 합작법인 설립 사활

완성차 업계는 공급 안정성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배터리 업체들과 합작법인 설립에 적극 나서고 있다.

국내 1위 배터리 업체인 LG화학은 최근 1년 동안 중국 지리(Geely·吉利) 자동차, 미국 GM과 잇따라 합작법인을 설립했다. GM과의 합작공장은 지난 4월 착공해 짓는 중이고 지리차와의 공장은 부지 선정 단계다.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도 글로벌 추세에 발맞춰 국내 배터리 3사 중 합작법인 파트너를 물색 중이다. 작년 말에는 현대차와 LG화학 간 합작법인 설립이 추진됐다가 무산됐다는 소문도 나왔다.

SK이노베이션은 중국 베이징자동차와 합작 공장을 추진해 작년 12월 준공했다.

유럽 주요 완성차 업체도 배터리 업체와의 합작 투자에 팔을 걷어붙였다. 폭스바겐은 지난달 중국 4위 배터리 업체 궈쉬안 하이테크의 지분 26.5%를 인수한다고 밝혔고, 다임러도 중국 파라시스와 배터리에 합작 투자할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폭스바겐은 지난해 SK이노베이션과의 합작사 설립 가능성이 제기됐으나 스웨덴 배터리 업체 노스볼트와 손잡았다.
 
 ▲LG화학 배터리(사진제공=연합뉴스)

합작, 안정성·기술력 확보 이점

합작법인 설립은 물량을 안정적으로 조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크게 작용한다.

배터리 업계의 한 관계자는 "테슬라 주가가 오르지 않는 이유가 배터리 공급 부족 때문이라는 주장이 있을 정도"라며 "그만큼 배터리 확보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전기차 생산량은 늘어가는데, 배터리 공장의 증설 속도가 뒤따르지 못하면서 완성차 업체가 나설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배터리 사업은 워낙 기술 집약적이어서 긴밀한 협력 없이는 제대로 된 제품을 생산하기 어렵고, 공급계약만으로 배터리 생산량을 컨트롤하기도 쉽지 않다. 때문에 배터리 업체는 합작을 통해 공장에 천문학적 자금을 투입하는 데 따른 부담을 덜 수 있다.

LG화학은 2010년대 초반 GM 배터리 공급을 위해 미국에 공장을 설립했으나, 볼트 판매 부진으로 가동이 1년 이상 미뤄지기도 했다.

만약 합작사 설립 형태로 배터리 공장을 지을 경우 비용과 책임을 분담할 수 있고 수주에서 매출로 이어지는 확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다만, 업계 일각에서는 합작사 설립으로 기술 유출 우려가 생겨 추가 수주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업계 한 관계자는 "완성차 업체가 가장 원하는 게 기술력 아니겠느냐"라며 "경쟁사 고객의 수주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배터리 소재도 '합작법인' 나서

합작법인 설립 양상은 배터리 소재 업계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역시 '폭풍 성장'을 대비한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이 그 원인이다.

LG화학은 연내 착공 예정인 구미 양극재 공장을 중국 업체와 합작해 설립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양극재는 배터리 원재료 가격의 30∼40%를 차지하는 핵심 소재다.

이에 대해 한 관계자는 = "중국 업체를 통해 안정적으로 메탈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이라며 "메탈 수급은 자동차 업체와의 계약에서도 메탈 연동 계약이 이뤄질 정도로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앞서 LG화학은 이미 지난 2018년 중국 화유코발트와 합작사를 설립해 전구체와 양극재를 생산하고 있다. 삼성SDI도 지난 2월 에코프로비엠과 양극재 합작법인 에코프로이엠을 설립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