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뉴스 문제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최근 몇 년 새 교계 인물이 가짜뉴스를 이용해 선동하거나 분란을 조장하는 일도 있었다. 오는 4월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있어, 이 같은 현상이 더욱 심해질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무분별하게 퍼지고 있는 가짜뉴스에 속지 않으려면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살펴봤다.
 
 ▲4월 15일 국회의원 선거를 앞둔 가운데 무분별한 가짜뉴스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사진제공=연합뉴스)

한국언론진흥재단에 따르면 가짜뉴스란 정파적 혹은 경제적 이익을 목적으로 허위·조작 정보를 기사형식처럼 구성해, 의도적으로 배포한 것을 말한다.
 
어디까지가 가짜고 진짜냐를 가리기가 어려워 '가짜뉴스'를 정의하기에 애매하다는 지적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의도와 목적, 왜곡을 담은 뉴스 기사형태를 띠는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에서는 2017년 초 대통령 탄핵 정국과 조기 대선을 거치며 급격하게 쏟아지기 시작했다.
 
한국교회는 여전히 무분별한 가짜뉴스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소셜미디어를 통해 검증되지 않은 정보들이 생성되고 퍼지면서 교회가 '가짜뉴스의 온상'이란 오명을 얻게 됐다.
 
검증되지 않은 정보 꼭 '의심'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의 가짜뉴스 관련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2017년, 성인남녀 1,084명 대상)를 보면 가짜 뉴스를 직접 접해 본 응답자들 대부분이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가짜 뉴스를 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서비스 중에서도 모바일 메신저와 소셜 플랫폼을 중심으로 가짜 뉴스를 접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문가들은 가짜뉴스가 교회 내에서 특히 확산되는 이유는 조작된 정보가 신앙과 접목해 전달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실천신대 종교사회학 정재영 교수는 "설문조사 자료를 보면 기독교인의 경우 삶을 나누고 교제하기 위해 SNS를 비교적 많이 활용한다고 나오는데, 묵상내용이나 기도제목 같이 신앙적인 것들로 포장 되어 검증되지 않은 정보가 전달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해당 뉴스가 주장하는 내용에 동의한다고 해서 타인에게 섣불리 전달하는 것도 문제로 지목된다.
 
정 교수는 "신앙적인 내용이나 현 시국에 중요한 내용이라는 식으로 포장이 되어 오기 때문에 당연히 좋은 내용이겠거니 생각하고 퍼 나르는 경우가 있다"라며 "교회가 악용될 소지가 있기 때문에 정보 공유가 공동체에 유익이 될지, 해가 될지를 충분히 고민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무조건 전달 NO, '분별' 우선
 
검증되지 않은 정보를 무심코 전달했다가 자칫 가해자가 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법무법인 에셀 이상민 변호사는 "선거와 관련해 허위사실을 유포할 경우에는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상, 3,0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다"며 교회의 주의를 당부했다.
 
전문가들은 가짜뉴스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정보에 의존하지 말고 스스로 분별할 수 있는 눈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가짜뉴스체크센터 추진위원회 임순혜 위원장은 "현재 가짜뉴스를 검증은 언론사를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다"면서 "언론사가 사실 파악(팩트체크)으로 전달해주는 것에 의존하지 말고 시민 스스로가 진실인지 아닌지, 어디까지가 팩트인지를 분별하는 눈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교회차원의 대책마련도 요구된다.

가짜뉴스로 인해 피해를 입거나 피해가 예상되는 경우 허위 사실 유포를 막기 위해 법적으로 대응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NCCK가 34개 단체와 연대해 준비 중인 가짜뉴스 검증플랫폼 '개미체커'와 같이 집단지성을 활용해 가짜뉴스를 수면 위로 밝혀내는 방법도 있다.
 
가짜뉴스가 사람들을 혼란스럽게 하고 공동체 내에서 분열을 일으키는 등 심각한 피해를 낳는 만큼 개인과 교회가 경각심을 가지고 대응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