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수년간 친 힌두교 정부의 강화된 '비자법'이 시행되면서 인도 사역 중인 선교사들의 추방이 잇따르고 있다. 인도 선교가 어려움에 봉착한 가운데 인도 선교의 현황을 묻고 대안을 찾는 자리가 마련돼 눈길을 끈다.
 
 ▲26일 서울은현교회에서 열린 '인도 선교 전략포럼' 모습.ⓒ데일리굿뉴스

강화된 비자법, 잇따른 '선교사 추방'

2017년부터 인도 선교사들이 비자 문제로 입국 거절 당하거나 추방당하는 사례가 급격히 늘고 있다. 이로 인해 인도 선교 전체가 위축되며 심각한 타격을 받고 있는 상황.

26일 서울은현교회에서 열린 '인도 선교 전략포럼'에서는 이 같은 인도 선교 현황에 대한 진단이 이어졌다. 이는 전인도선교사협의회와 한국세계선교협의회(KWMA), 인도선교네트워크가 공동주최해 마련한 자리다.

인도 선교사를 비롯 목회자, 타국 선교사들까지 한 자리에 모인 가운데 '인도 선교의 성장 저해'가 가장 큰 문제로 꼽혔다. 인도 선교의 최대 방해물은 신학적인 문제가 아닌 '사회·문화적 요인' 때문이라는 게 현장 사역자들의 분석이다.

조 융 선교사(전인도선교사협의회 총무)는 "2015년 이후 인도에서는 다양하고 광범위하게 기독교 핍박이 계속되고 있다"며 "인도의 힌두교 극단주의자들이 권력을 장악하고 기독교인 박해에 나서고 있어 제 2의 중국 사태를 우려하고 있다. 현재 인도 선교의 미래는 그리 밝지 않다는 게 자명한 사실"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힌두 정부의 반대, 힌두 단체의 군사행동 및 국수주의는 복음 전파에 최대 걸림돌로 작용한다. 인도 선교 활동에 상당한 타격을 입힌 '인도 비자법 강화'도 표면적으론 탈세를 막기 위함이라고는 하지만 강성 친 힌두교 정부의 근본주의 정책이 원인으로 꼽힌다.

전인도선교사협의회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다양한 이유로 비자 발급을 거부하고 있다. 비자를 내기 위한 요건도 까다롭다. 사업비자는 연매출 1크롤(1억 7,000만 원) 이상을 넘어야 발급이 가능하며, 고용비자는 매달 3만 인도 루피(53만 2,000원)를 소득세로 낸다는 증빙절차를 거쳐야 한다. 간신히 비자를 받는다 해도 외국인등록소(FRO)의 신고과정에서 등록이 거부되거나 선교사라는 이유로 출국심사에서 추방되는 예가 허다하다.

조 선교사는 "힌두교 정부로 인해 교류가 막히는 것은 물론 비자 등으로 비자발적 철수가 늘고 있는 상황"이라며 "각 지역마다 기도모임이 있고 선교협의회가 있는데, 보안 사유로 폐하기도 한다. 어떻게 알았는지 선교사를 찾아내 거주지 등록을 거부 조치하는 경우도 있다. 선교사 명단이 있는지 의심스러울 정도"라고 말했다.

인적 선교에 중심 둔 '직접 전도' 요구돼  

올해 들어 1년 짜리 관광비자가 생기면서 그나마 길이 열린 상태다. 현 상황에서 선교사들은 "이제 조금씩 상황이 바뀌고 있다"며 "파송교회와 선교단체는 파송 선교사를 기다려주는 믿음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원정하 선교사(전인도선교사협의회 회계)는 "상황이 여의치 않으니 비자발적 철수를 하거나 사역지를 이동하는 경우를 많이 본다"면서 "조금만 더 기다리면 어떨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사역을 하다보면 현실적인 문제에 부딪치는데, 이때 교회가 믿고 기다려준다면 큰 힘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인도 선교에 대한 국내 선교계의 우려에 '다양한 대응 전략'들이 제시됐다. 제자화 훈련과 현지선교단체와의 협력선교, 신학교·교회 설립 등이 그것이다. 이 중에서 무엇보다 강조된 건 '직접 전도'였다.

원 선교사는 "이러한 박해 상황에서 우리에게 최악의 상황은 기껏해야 추방이다. 그러나 현지인 선교사가 전도하다 걸리면 죽음까지 생각해야 한다"면서 "외국인 선교사가 적극 전도에 임해야 하는 이유다. 간접 선교가 아닌 한 영혼 한 영혼을 직접 전도하는 방식을 취해야 한다"고 밝혔다.

조 융 선교사도 "사역의 방향은 선교사 중심이 아닌 현지인 중심의 사역이 돼야 한다"면서 "물적 선교가 아닌 인적 선교의 방향으로 먼저 확립된다면 미래선교에 대해 더 가치 있는 논의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