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경제는 꾸준히 성장한다고 하는데 왜 사는 건 점점 힘들어지는 걸까. 정권마다 '일자리 창출'과 '양극화 해소'를 외치고 있음에도 부는 왜 더욱 편중되는 것일까. 우리사회의 불평등 구조를 만드는 원인은 정말 상위 '1%'의 탐욕과 독식 때문일까.

최근 많은 학자들과 사회운동가들이 상위 1%로 부가 집중되는 것에 비판과 경고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하지만 이 가운데 단호히 '아니'라 말하며, 빈부의 불평등선을 가르는 실질적 주체를 파헤친 이가 존재한다.

미국의 싱크탱크인 브루킹스연구소 선임 연구원 리처드 리브스는 저서 '20 VS 80의 사회'를 통해 불평등의 담론이 상위 1% 문제로만 국한돼왔다면, 이제 논의의 초점을 상위 20%인 '중상류층(Upper middle class)'에 맞춰야 한다고 주장한다.

최상위 1%와 나머지 99%의 대결구도를 고수하는 기존의 프레임에서 벗어나 상위 20%를 중심으로 불평등 구조를 분석한 것. 중상류층의 위선적인 태도와 불공정한 행위를 통렬하게 비판하며 불평등 논의의 흐름을 바꿔 미국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중상류층이 부와 지위를 대물림하며 현재 불평등 구조를 심화시키고 있다.(사진제공=연합뉴스)

그들만의 리그, 부·지위 대물림

분명 미국 사회의 이야기인데 '한국'에 대입해도 무리 없이 읽힌다. 책에서 포착한 미국 중상류층의 행태는 현재 한국 사회의 대다수가 체감하는 현실과 비슷하다. 책을 읽다보면 TV 드라마 '스카이캐슬'의 사교육 현주소부터 최근 조국 법무부장관의 자녀 논란까지 한국의 상황과 여러모로 겹쳐진다.

책에선 '중상류층'의 위선을 까발리며 고등 교육 등을 통해 부를 대물림하고 불평등을 고착화하는 형태를 폭로한다. 이들 계층은 가구 소득 기준 상위 20%(연간소득 11만 2,000달러•1억 3,500만원)에 해당하는 고소득•고학력•전문직 일자리를 가진 이른바 '엘리트집단'이다.

상위 1% 진입이 불가능하다는 성토가 빈번히 나오지만, 중상류층이 세워 놓은 성(城)도 그에 못지않게 견고하다. 중상류층은 태어나면서부터 다른 길을 걷는다. 이들의 지위와 부는 효과적으로 세습되고, 각종 통계가 이를 뒷받침한다.

중상층 자녀가 성인이 돼 중상류충이 될 확률은 하위층 자녀가 하위층이 될 확률보다 더 높다. 상위 20% 가구에서 태어난 아이 중 44%가 성인이 됐을 때도 상위 20%에 속했고, 부모의 학력이 상위 20%인 가구에서 태어난 아이의 46%가 커서도 그와 비슷한 학력을 획득했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부의 불평등이 소득의 불평등보다 빠르게 증가한다는 것은 놀랄 일이 아니다. 부를 기준으로 했을 때 상위 20%의 가구가 평균적으로 소유한 부는 1983년에서 2013년 사이에 83% 증가했다. 반면 나머지 사람들은 부의 증가폭이 훨씬 미미했고, 부가 줄어들기도 했다."

진정한 '평등'은 중상류층 반성에서부터

상위 20%가 자신들 아래 80%와 격차를 벌리면서 사회적 불평등을 고착화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는 것이 저자의 핵심적 주장이다. '1대 99'의 프레임 속에서 99%에 속한다는 걸 명분삼아 이들이 실제 얼마나 많은 혜택을 누리고 있는지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저자가 제시하는 단적인 개념 중 하나가 바로 '기회 사재기(opportunity hoarding)'다. 중상류층은 고소득 일자리 등 성공의 기회를 독차지한 채 자녀들이 하위 계층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유리바닥'을 깔아주기에 여념 없다. 능력과 실력만 있으면 성공할 수 있다는 희망과 달리, 상위 20%가 기회를 사재기하면서 다른 이들의 접근을 불공정하게 막고 있는 것이다. 저자는 기회 사재기 가운데 두드러지는 예로 '그들만의 주거지를 유지하는 부동산 제도', 동문 자녀 우대 정책 등 '불공정한 대학입학 절차', 알음알음으로 이뤄지는 '인턴 기회 분배' 등 세 가지를 꼽는다.

특히 미국 내에서 인턴 경험은 대학 졸업 후 채용 시에 중요하게 고려되는 요인이다. 이러한 인턴 자리가 인맥과 연줄을 통해 분배되면서 서로 혜택을 주는 식으로 작동하고 있는 셈이다. 마이클 블룸버그가 뉴욕 시장을 지낼 때 뉴욕 시청 인턴으로 딸이 채용되도록 '특별 면제'를 해준 일화 등이 이를 반증한
 ▲20 VS 80의 사회/리처드 리브스 지음/민음사
다. "우리가 기회를 사재기하면 우리 아이에게는 도움이 되지만 다른 아이들은 기회가 안돼 피해를 본다. 우리 아이가 동문 자녀 우대로 대학에 가거나 연줄로 인턴 자리를 잡으면 다른 아이들은 그만큼 기회가 줄어든다."

이 같은 중상류층의 불공정한 행위들이 우리 사회에 기울어진 '운동장'을 만드는 주범이라고 저자는 힐난한다. 그런 그가 미국 사회에 제언하는 것은 결국 중상류층의 '각성'이다. 기회 사재기를 막고 격차를 줄이기 위해 시행할 수 있는 일곱 가지 조처들도 제시하기는 하지만, 문제 해결의 출발점은 중상류층들이 '그동안 얼마나 특권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는지'를 인정하는 것이라 말한다.

저자의 이런 말은 그가 실제로 중상류층에 속해 있기에 더욱 신뢰가 간다. 어쩌면 이 책은 중상류층에 속한 지은이의 '반성문'으로도 볼 수 있다. '우리'라고 지칭하면서도 냉철함을 잃지 않은 저자의 비판은 책이 가진 큰 미덕이다. 책을 통해 저자는 어떤 결과를 낳을 것을 기대하기보다는 독자들에게 이렇게 말을 건넨다. "불평등에 관한 진지한 논의를 시작하자고...' 불공정한 방식으로 이득을 취하는 우리 사회의 맹점이 있다면 고쳐나가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