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민폐 행위가 갈수록 도를 지나치고 있다.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제1원전)에 설치된 방사능 오염수 저장탱크가 오는 2022년 한계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일본 정부가 최근 방사능 오염수 처리 방안을 두고 처리 비용과 시간이 가장 적게 드는 '해양 방류'를 시사하면서 군불 때기에 나선 것이다.
 
 ▲일본이 최근 방사능 오염수 처리 방안을 두고 '해양 방류'를 시사하면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사진은 후쿠시마 제1원전 부지에 오염수를 담아둔 대형 물탱크가 늘어져 있는 모습 (사진제공=연합뉴스)

주변국 반발 불구 "정화처리로 안전" 주장
 
논란은 하라다 요시아키 전 환경상의 말에서 촉발됐다. 하라다 전 환경상은 지난 10일 고별 기자회견에서 원전 오염수 처리 방법을 두고 "과감하게 (바다로) 방출해 희석하는 것 말고는 다른 선택지가 없다"라며 "원자력규제위원회 위원장도 '안정성, 과학성으로 보면 괜찮다'고 말하고 있다"라고 주장해 불씨를 지폈다. 이어 '단순한 의견'이라고 덧붙였지만, 당시 환경 수장의 발언인 만큼 일본 정부가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는 것으로 처리를 굳힌 것이 아니냐는 의심이 짙어졌다.
 
여기에 일본 제2의 도시 오사카까지 가세했다. 마쓰이 이치로 오사카 시장은 지난 17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오염수 해양 방류에 협력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는 "과학적으로 안 되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지만, 전혀 환경 피해가 없는 것은 국가 전체에서 처리해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이는 언제든지 오사카 앞바다에 오염수를 방류할 수 있다는 의미다.
 
일본 정부가 오염수 방류에 대한 의지를 노골적으로 드러내면서, 한국 등 주변국 반발도 거세지고 있다. 특히 한국은 일본의 오염수 방류 문제에 적극적으로 나서며 국제사회에 공론화하고 있다. 한일 양국은 지난 16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국제원자력기구(IAEA) 총회에서 오염수 방류 문제를 두고 치열한 설전을 벌이기도 했다.     
 
현재 후쿠시마 제1원전 저장탱크에는 오염수 115만t(7월 기준)이 보관돼 있다. '다핵종제거설비'(ALPS) 등을 포함한 정화설비로 처리한 오염수인데, 일본은 이를 '처리수'로 부르며 안전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정화설비로도 걸러지지 않은 방사성 물질 삼중수소다. 일본은 오염수에 대량 포함된 삼중수소에 대해 "몸에 들어와도 즉시 배출된다"라고 설명한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일본의 주장이 과장됐거나 거짓일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한다. 어떤 방사성 물질이라도 기준치 이하면 안전하다는 것은 지나친 낙관이라는 것. 또 정화 처리로 60여 가지의 방사성 핵종을 모두 걸러내기 어렵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실제로 지난해에는 정화를 끝낸 오염수에서 삼중수소 외에도 세슘 등의 방사성 물질이 기준치를 초과한 사실이 밝혀졌다.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의 숀 버니 독일사무소 수석 원자력 전문가는 "일본 정부가 고준위 방사성 오염수 방류할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라며 "한국은 위험에서 벗어나기 어렵다"라고 경고한바 있다. 앞으로 정부가 오염수 방류 문제를 공론화하여 국제사회의 공조와 관심을 이끌어 내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