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9년 미국 아폴로11호 선장 닐 암스트롱이 사상 최초로 달에 착륙한 지 50주년을 맞았다. 세계는 지금 우주 탐사를 둘러싸고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제3의 영토'로 불리는 우주 공간을 선점하는 것은 자존심 문제일 뿐 아니라 군사적, 경제적으로도 매우 큰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중국이 미국도 열지 못했던 달 뒷면 탐사라는 새로운 장을 열면서, 우주 패권을 둘러싼 강대국 간 경쟁은 그 어느 때보다 심화될 전망이다.
 
 ▲중국 창어 4호가 보낸 달 뒷면 모습.

中, '달의 뒷면'을 보다…대륙이 쏘아올린 상아

지난해 12월 초 발사된 중국의 달 탐사선 '창어(嫦娥) 4호'가 인류 최초로 달 뒷면에 착륙하자 중국 대륙이 들썩였다. '우주강국' 미국을 빠른 속도로 따라잡고, 새 기록을 세운 우주굴기(우뚝 섬)에 모두는 열광했다. 이전에도 미국의 '아폴로' 임무 등을 통해 여러 차례 달에 탐사선이 보내졌지만 모두 앞면에 착륙하거나 달 궤도를 돌며 멀리서 달 뒷면을 지켜봤을 뿐이다.

달은 자전과 공전 주기가 같아 뒷면이 지구에서는 안 보인다. 이 때문에 달 뒷면은 지구와 통신이 끊어져 착륙이 어려운데다가 달의 뒷면이 앞면보다 험준하다는 점도 착륙의 걸림돌이었다. 인류가 관측 영상을 통해 처음 달의 뒷면을 본 것도 불과 60년밖에 되지 않았다. 창어 4호의 달 뒷면 착륙은 이런 점에서 상당한 의미를 지닌다.

중국은 이 기록으로 인해 기술 강국으로서의 면모를 일신했다. 이를 발판 삼아 우주 경쟁에서 우위를 선점하겠다는 의지다. 중국은 2020년까지 창어 5호를 발사해 달 표면을 탐사한 뒤 탐사차와 착륙선을 지구로 귀환시키는 계획도 추진 중이다. 바야흐로 미국과 러시아가 주도해온 우주 경쟁에 중국이 선전포고한 셈이다.
 
'달'에 쏠린 세계의 눈…한국은 '제자리걸음'
 

중국이 달 뒷면 착륙에 성공하면서 주요국들의 달 탐사 경쟁에도 불이 붙었다. 미국은 우주 탐사 선두자리를 고수하려 달 탐사 재개에 시동을 걸었다. 미 항공우주국(나사)은 지난해 10월 "대통령의 명령을 받아 우리는 달로 간다"고 선언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17년 12월 서명한 행정명령을 통해 1972년 이후 중단한 달 탐사를 재개하라고 지시한 데 따른 것이다.

무엇보다 정부가 아닌 민간기업 차원에서 달 탐사를 주도한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올해 민간기업 주도로 달 착륙선을 보내고 2024년부터 국제공조로 달에 우주정거장을 건설하는 등 기득권을 지키겠다는 게 미국의 구상이다.  

미 항공우주국 나사(NASA)는 달 착륙선 개발업체 9곳을 선정했으며 우주비행사 2명을 민간 우주왕복선에 태워 지구로 귀환하는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특히 스페이스X는 민간인을 태우고 달에 갈 우주선, 스타십 시범 비행을 서두르고 있다.

러시아·유럽·일본·인도 등 다른 우주강국의 달 공략도 매섭다. 인도는 이달 달 착륙선을 발사하고 수년 내 사람을 태워 보내기로 했다. 2008년 달 탐사 위성 찬드라얀 1호를 발사한 역량을 토대로 올해 찬드라얀 2호를 달에 쏘아 올릴 예정이다. 인도 정부는 여기에 그치지 않고 2022년까지 유인우주선을 발사한다는 청사진까지 그려놓고 있다. 일본과 러시아도 2030년까지 달에 사람을 보낼 계획이며 유럽은 유인기지 건설에 본격 착수했다. 이와 별개로 아마존·페이스북·구글 등 민간 기업들도 앞다퉈 우주개발에 투자하고 있다.

주요 국가들과 기업들이 달 탐사 등 우주개발에 열을 올리는 것은 단순한 국력 과시용이 아니다. 세계가 달로 가려는 이유는 달의 자원이 미래의 활용가치가 크기 때문이다.

달에는 우라늄, 백금 같은 희귀광물뿐 아니라 미래 에너지원인 핵융합의 주요 원료가 될 헬륨3가 매장돼 있다. 또 달의 요충지 확보는 심우주 탐사나 군사적 기밀성이 높은 전략선점에도 큰 도움이 된다. 이처럼 우주항공 산업은 핵심 미래산업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달 탐사 계획은 10년 넘게 지지부진한 상태다. 달 탐사일정이 정권에 따라 갈지자 행보를 보이며 늦춰졌다. 당초 노무현 정부는 달 착륙선 발사시기를 2025년으로 잡았다. 박근혜 정부 들어 이를 5년 앞당겼지만 정작 2015년에 관련 예산을 전액 삭감하며 사실상 중단됐다.

문재인 정부는 2030년까지 달 착륙선을 보내기로 했으나 아직도 구체적인 계획이 부족한 상태다. 국가 차원의 투자규모도 미국의 2%, 일본의 20%에 불과하다. KAIST 항공우주공학과 탁민제 교수는 "정권에 상관없이 길게 보며 달 탐사 등에 과감히 투자하고 국제협력과 민간으로의 기술이전을 가속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