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전통적 사고방식에는 가족이 나이든 부모를 부양해야 한다는 인식이 강했다. 그러나 노부모 부양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10년 새 크게 달라졌다.
 
 ▲가족이 부모 부양을 책임져야 한다는 응답은 올해 전체의 26.7%에 그쳐 처음으로 30%를 밑돌았다.

"자식이 부모 부양해야" 26.7%…10년새 확 줄어
 
자식이 노부모를 부양을 해야 한다는 인식이 10년 만에 확 줄어들었다.
 
가족이 부모 부양을 책임져야 한다는 응답은 올해 전체의 26.7%에 그쳐 처음으로 30%를 밑돌았다. 10년 전인 2008년 40.7%보다 무려 14%포인트가 낮아진 셈이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 2018' 보고서에 따르면 가족이 부모 부양을 책임져야 한다는 비율은 해마다 감소하는 추세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08년 40.7% △2010년 36.0% △2012년 33.2% △2014년 31.7% △2016년 30.8% △2018년 26.7%다.
 
정부나 사회가 가족과 함께 부모의 노후를 책임져야 한다는 응답은 전체의 48.3%로 가장 많았다. 10년 전에 비해 4.7%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이 외 부모 스스로 생계를 해결해야 한다는 응답은 19.4%에 달했다.
 
정경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부모를 부양할 때 생기는 경제적 부담을 사회가 함께 나눠야 한다는 인식이 강해진 결과"라며 "가족 울타리 안에서 해결하던 전통적인 부모 부양의 개념이 달라지고 있다"고 말했다.
 
자녀가 부모 노후를 위해 정부·사회의 역할을 기대하는 이유는 가정의 힘만으로 노인을 부양하기에 큰 경제적 부담 때문이다.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 급증 △적극적인 치매 치료 분위기 △중·고령 은퇴자들의 높은 생활비 및 의료비 △요양시설 이용 인식 확산 등이 구체적인 이유다.
 
부모의 노후를 돌보는 주체의식이 약해지면서 상속에 대한 인식도 달라지고 있다. 노인의 59.5%가 자녀 균등 배분을 선호했고, 자신이나 배우자를 위해서 사용하겠다는 응답이 17.3%에 달했다. 10년 전 비율인 9.2%보다 약 2배 증가한 수치다.
 
자녀와 함께 사는 65세 이상 고령층 비율도 10년 전 27.6%에서 23.7%로 낮아졌다. 반면 혼자 살거나 부부끼리만 사는 비율은 66.8%에서 72%로 늘었다.
 
고령층은 '몸이 불편해지면 재가 서비스를 받으며 현재 집에서 계속 살고 싶다'는 의견이 57.6%로 절반을 넘었다. '노인요양시설에 들어 가겠다'가 31.9%였고 '배우자나 자녀, 형제자매와 함께 살겠다'는 10.3%로 소수에 그쳤다.
 
정 연구원은 "노년기 삶에 대한 태도와 가치관이 변화하고 있다"며 "특히 노인과 자녀세대에서 모두 자녀동거 규범이 약화돼 공적인 제도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