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글라데시로 도피한 로힝야족 난민의 송환 계획이 수포로 돌아갔다. 설상가상으로 미얀마 정부가 난민 송환실패 책임을 방글라데시 측에 전가해 국제사회 비난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방글라데시로 도피한 로힝야족 난민의 송환 계획이 수포로 돌아간 가운데 미얀마 정부가 그 책임을 방글라데시 측에 전가해 국제사회 비난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시민권·안전 보장 요구한 난민들 주장 '외면'
 
미얀마와 방글라데시가 지난달 실무협의를 통해 로힝야족 난민 중 일부를 1차 송환 대상자로 선정, 본국 행을 추진한 게 불과 일주일 전이었다. 국제사회의 비난 속에 미얀마가 특단의 조치를 내놓은 것이다.
 
앞서 양국은 72만 명의 난민 송환에 합의하고, 2천251명의 1차 송환대상자를 선정해 15일부터 송환을 시작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양국이 합의한 송환 개시일 이후 귀환 희망자는 단 한 명도 없었다.  
 
로힝야족 난민들은 시민권과 안전이 보장되지 않으면 "돌아가지 않겠다"며 목소리를 내고 있다. 난민촌에서는 로힝야족 수천 명이 시민권 보장 없이 송환을 추진하는 미얀마를 성토하며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미얀마 군의 폭력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어 본국 송환을 거부하고 있는 것.
 
최근 미얀마 경찰이 내국인 난민촌(IDP)에서 로힝야족 난민들에게 총을 쏴 4명의 사상자가 발생해 논란을 빚은 바 있다. 이에 난민들은 신변안전 보장과 학살 책임자 처벌, 원거주지 복귀 등을 미얀마 정부에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 측은 이에 대한 명확한 답을 내놓지 않은 채, 로힝야족을 국민으로 인정하지 않고 국적법에 따라 처리하겠다는 입장을 고수 중이다.
 
또 난민들이 송환을 거부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방글라데시 측에 원인을 돌리면서 자신들은 '할 만큼 했다'는 식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
 
민트 투 사무차관은 "솔직히 방글라데시 측의 물리적 준비상태가 미비했다"고 말했고, 미얀마의 준비가 덜 됐다는 유엔난민기구(UNHCR)의 지적에 대해서는 "도대체 어떤 기준으로 그런 말을 하는지 모르겠다. 이미 우리는 1월에 준비를 마쳤다"고 반박했다.
 
이런 상황을 두고 국제 사회의 우려의 목소리가 적지 않다. 안전이 보장되지 않은 송환은 '로힝야의 비극'을 되풀이할 것이란 지적이 나오는 상황이다. 유엔과 인권단체들은 이번 송환을 강력 비판했다.
 
미첼 바첼레트 유엔인권최고대표는 "의사에 반하는 송환은 명백한 국제법 위반"이라며 비난했다. 국제앰네스티, 휴먼라이츠워치도 송환중단을 촉구했다. 방글라데시 정부는 "요구사항 수용 없이는 누구도 (미얀마로) 돌아가려 하지 않는 것 같다"면서 "따라서 송환 방침은 난민들의 핵심 요구를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한국교회는 이런 상황에서 로힝야족 인권탄압의 심각성을 알리며 관심을 촉구하고 나섰다. 최근 방글라데시의 한 난민촌을 방문하고 돌아온 '한국교회 로힝야 난민구호연합'은 그간 구호사업을 보고하고 로힝야족의 현실을 알렸다. 지난 5월 출범한 '난민구호연합'은 각종 구호활동을 전개 중에 있다.
 
난민구조연합은 "난민들은 열악함 속에 질병과 굶주림으로 시름하고 있다"며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한국교회의 관심과 지원이 절실하다. 이들을 향한 선교적 차원의 돌봄도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