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박경미 의원 ⓒ연합뉴스
지난해 우리나라 학생 자살사망자는 114명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수치는 3일에 한 명꼴의 학생들이 자살이라는 극단의 선택을 하는 셈이다. 또한 학생 자살시도자도 무려 451명이나 돼 교육당국 등 우리사회 전반에서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경미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2017 학교보고기반 심리부검: 학생자살사망 및 자살시도사안보고서 분석> 자료에 따르면, 2017년 학생 자살사망자 수는 114명으로 전년도인 2016년 자살사망자 108명보다 증가했다. 이 중 초등학생이 5명, 중학생이 33명, 고등학생이 76명으로 2016년에 비해 초등학생이 2명, 중학생이 8명 늘어났다.

자살자 발생월별로는 8월이 가장 많았으며(16명, 14.0%), 그 다음이 3월이었다(14명, 12.3%). 보고서에서는 8월에 사안이 발생한 학교의 학사일정을 조사한 결과 16개교 중 12개 학교가 2학기 개학일 열흘 전후에 사안이 발생했다는 점과, 3월에 학생자살사건이 다수 발생했다는 점에서 새로운 학기의 시작 전후가 시기적으로 학생들에게 정서적으로 민감한 영향을 미치는 잠재적 요소의 가능성이 제기된다고 분석하고 있다.

또한 학생 자살자 중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를 실시한 학생은 108명 중 104명이었다. 이 중 89명(86.4%)이 정상군, 3명이 일반관리군(2.9%), 11명이 우선관리군(10.7%)으로 약 13.6%가 관심군 학생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사망 당해연도에 검사를 실시한 대상학년이 31명(29.8%), 미실시 대상학년이 73명이(70.3%)나 된다는 것이다.

이 가운데 관심군 중 우선관리군 학생들의 경우 11명 중 10명이 학교 상담실, 담임교사 상담 등 심리지원 연계를 받았다. 그러나 이 중 3명은 학생 본인의 의사로 중단된 것으로 조사돼, 전문상담 등 심리지원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학교의 자살 사후개입 여부와 관련해, 자살사건 발생 후 학교가 위기관리위원회를 소집하는 등 개입중이거나 완료한 경우는 98개교였으나, 학생을 대상으로 고위험군 선별검사와 고위험군 상담 등의 사후개입을 하고 있거나 완료한 학교는 각각 39개교, 46개교에 불과했다.

학생들의 자살시도 이유에 대해서는 '우울이나 불안한 마음을 해소하기 위해'가 277명으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이 '분노를 해소하기 위해'가 125명, '내 마음을 다른 사람에게 알리기 위해'가 90명 순(順)이었다. 그 밖에 '다른 사람들로부터 더 많은 관심을 얻기 위해'가 54명, '또래 집단에 대한 소속감을 느끼기 위해'가 6명으로 나타나, 최근 자해시도가 또래집단 사이 하나의 유행으로 확산되고 있는 현실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박경미 의원은 이번 보고서에 대해 "우울, 불안과 같은 심리상태와 부모와의 갈등이나 교우관계의 어려움을 상담과 치료 등을 통해 해결하는 등 자살까지 이어지지 않도록 시스템을 정비하고, 학생 뿐 아니라 학교밖 청소년의 자살에 대한 심리부검을 통해 원인별 대책을 꼼꼼히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위클리굿뉴스 10월 28일, 45호 기사)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