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의 마지막 날인 31일은 할로윈데이다. 눈길을 끌만한 화려한 이벤트와 행사 등 벌써부터 축제 준비가 한창이다. 특별히 할로윈 문화는 성인 뿐 아니라, 유초등부 및 청소년들의 일상에도 가까워지고 있다.
 
이런 분위기 속에, 기독교 관점에서 할로윈 데이의 유래나 풍습을 가만히 들여다 보면 할로윈 문화의 의미를 제대로 알고 이를 대체할 문화가 필요하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우리나라에 확산된 할로윈 문화에 대해 긍정적 시각이 있는 반면, 기독교 관점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유럽에서 우리나라로 확산된 할로윈데이, 그 의미는?
 
할로윈데이는 귀신에 대한 두려움에서 비롯됐다. 기원전 500년 경 영국과 아일랜드, 프랑스 북서부 지방에 살던 켈트족은 죽은 영혼이 자신의 몸 속에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귀신 복장을 하고 집안을 차갑게 만들었다.
 
이들은 열 달을 1년으로 하는 달력을 사용해 새해 첫날을 11월 1일로 여겼다. 당시 한 해의 마지막 날이었던 10월 31일은 죽은 영혼들이 자신이 머무를 다른 사람을 찾으러 다니는 날이라고 믿었다.
 
로마가 켈트족을 정복한 뒤 기독교가 들어오면서 교황 보니파체 4세는 11월 1일을 '모든 성인의 날'로 정했다. 그리고 그 전 날이 '모든 성인들의 날 전야'가 됐다. 이 말이 할로윈으로 바뀌어 오늘날에 이르게 된 것이다.
 
이후 영국 청교도들이 미국으로 이주하면서 미국에서도 할로윈 데이는 국민적 축제가 됐다.

한국으로 건너온 이 문화는 대표적인 가을 축제로 자리 잡고 있다. 대형 쇼핑몰에서는 호박과 해골, 다양한 유령 모형의 장식이 달려 있고, 할로윈을 다채롭게 즐길 수 있도록 박물관 및 체험관도 개장했다.

일상에 가까워진 '할로윈' 기독교 관점에서 보면…
  
이처럼 우리나라에도 확산된 할로윈 문화에 대해 긍정적 시각이 있는 반면, 기독교 관점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할로윈데이는 주변 이웃이나 친구들과 함께 어울릴 수 있는 계기를 마련 해 준다는 것이 긍정적인 측면이다. 우리나라 대표 명절인 추석과 설날은 가족모임의 측면이 강한 날이고, 그 외 즐길 수 있는 문화가 없으니 문화적 필요에 따라 할로윈데이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부정적인 측면에서는 문화라는 이유만으로 귀신 분장과, 혐오스러운 도구, 소품 등을 활용해 행사를 즐기는 것이 기독교 신앙에 유익이 되지 않을 뿐더러, '악의 모습'을 그대로 재현하는 일에 불과하다고 한다.

문화선교원 백광훈 목사는 "성경은 '악은 모든 모양이라도 버리라'고 했는데, 크리스천조차 할로윈데이가 어떤 날인지 잘 모르면서 파티에 참석하기도 한다"며 "신앙인이라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악의 모습을 따르거나 악의 도구가 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교사베이직> 저자 이정현 목사(군산드림교회)는 할로윈 문화를 수용할 때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것은 무엇인지 고민하고 결정하는 자세가 중요하다"라고 조언했다.

대체할 수 있는 기독문화 필요해
 
실제로 교회 현장에서 유초등부 담당교육을 맡고 있는 박 모 강도사는 "얼마 전 놀이동산을 다녀왔는데, 할로윈 축제와 분장이 한 창이었다"면서 "기독문화 교육과 콘텐츠를 활용해 자연스럽게 할로윈데이의 의미를 짚어주고, 아이들이 어떻게 할로윈 문화를 수용해야 할지 교육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교사베이직> 저자 이정현 목사(군산드림교회)는 로마서 성경말씀 12장 1절 말씀을 인용하며 "할로윈을 포함한 다양한 문화요소를 받아들일 때 크리스천들은 다른 사람들이 한다고 해서 무분별하게 따라 하기보다는, 먼저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것은 무엇인지 고민하고 결정하는 자세가 중요하다"라고 조언했다.
 
이어, 자신이 미국 달라스 한인 교회에서 사역했을 당시 실제 경험을 전하며 대안을 제안했다.
 
이 목사는 "할로윈 문화를 무조건적으로 배척하기에는 아이들은 이미 많이 좋아하고 있다. 아이들 입장에서 다른 친구들은 가면을 쓰고 사탕을 받는데 자신은 그러지 못하면 소외되고 마음이 어려울 것"이라며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문화코드를 만들어가는 방향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 한인 교회에서 사역했을 당시, 교회학교 아이들과 할로윈데이 대신 '할렐루야 데이'를 가졌다. 주말 저녁시간 교회에서 마귀의 복장이 아닌 천사나 동물 캐릭터 등의 가면을 쓰고 게임, 다과 나눔 등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줬다"라고 전했다.
 
다음세대의 건강한 신앙교육을 위해서라도 크리스천들은 성경적 가치관을 토대로 할로윈 문화를 다시 한번 되돌아보고 기독교 관점에서 재해석하는 과정이 필요해 보인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