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가 줄어들어 사라질 수도 있는 지역 ⓒ한국고용정보원
 
전국 시군구 및 읍면동 10곳 가운데 4곳이 저출산·고령화로 사라질 위험에 처해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고용정보원 이상호 연구위원은 지난 8월 13일 '한국의 지방소멸 2018'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국가통계포털에 있는 주민등록인구 통계를 활용해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전국 228곳 시군구(제주와 세종은 각각 1개 지역으로 계산)와 3,463곳 읍면동 소멸위험지수를 계산했다. 그 결과 228곳 시군구 가운데 소멸위험지역은 89곳(39%)으로 나타났다. 2013년 첫 조사 때 75곳(32.9%)보다 14곳 증가한 수치다. 3,463곳 읍면동 중 소멸위험지역은 2013년 때 1,229곳(35.5%)보다 274곳 늘어난 1,503곳(43.4%)이었다.
 
소멸위험지수는 한 지역의 20세부터 39세까지 가임기 여성 인구수를 65세 이상 고령 인구수로 나눈 값이다. 소멸위험지수가 0.5 미만인 지역은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된다. 즉 소멸위험지수가 0.5 미만이면 저출산·고령화로 인해 한 공동체가 붕괴돼 사라질 수 있다는 뜻이다. 소멸위험지수는 이 연구위원이 일본 학자 마스다 히로야가 쓴 <지방소멸> 보고서에서 착안해 2015년 처음 개발 및 사용했다.
 
전국에서 사라질 위험이 가장 큰 곳은 경북 의성군으로 소멸위험지수는 0.151이었다. 전남 고흥군(0.161), 경북 군위군(0.169), 경남 합천군(0.171), 경남 남해군(0.179), 경북 청송군(0.184), 경북 영양군(0.187) 등이 뒤를 이었다. 부산 중구(0.491)와 경북 경주시(0.496), 김천시(0.496), 강원 철원군(0.480) 4곳은 올해 새로 소멸위험지역에 분류됐다. 이번 보고서는 소멸위험이 농어촌 낙후지역을 넘어 지방 대도시와 공공기관 이전 거점지역까지 확산되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위클리굿뉴스 8월 26일, 38호 기사)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