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에게 그림수업을 진행했던 이경신 화가가 20여년 전 할머니들과의 수업을 회고하며 쓴 에세이를 책으로 출간해 눈길을 끈다.
 
20여년 전, 할머니들과의 미술수업 회고한 에세이
 
"여기 봉오리를 터뜨리기 전 목련꽃이 꼭 내 신세 같네. 제일 이쁠 적에 제대로 한 번 피어보지도 못한 것이 나랑 닮았어."
 
김순덕 할머니는 감색 바탕에 목련이 수 놓인 자수 천을 꺼내 보였다. 경기도 광주 나눔의 집 주변 버려진 병풍에서 떼어낸 것이었다. 할머니는 자수천을 펼친 뒤 물감판을 열었다. 생천 위 목련꽃 뒤에서 오래 전 경남 의령군 산골에 살던 열일곱 살 소녀가 조금씩 모습을 드러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아픔을 상징하는 그림이 된 <못다 핀 꽃>은 20여 년 전, 나눔의 집을 찾은 화가 이경신과 할머니들의 미술수업에서 탄생했다.
 
같은 제목의 신간 <못다 핀 꽃>은 1993년부터 약 5년간 할머니들에게 그림을 가르쳤던 이경신 화가가 당시를 돌아보며 쓴 에세이다.
 
미대를 졸업하고 '화가 인생의 출발점'에 섰던 이경신 작가는 나눔의집에서 한글을 가르칠 자원봉사자를 찾는다는 소식을 듣고 광주로 달려갔다. 한글 수업은 곧 미술 수업으로 바뀌었는데, 처음에는 할머니들의 반대도 있었다고 한다.
 
'이 나이에 뭔 그림이여', '치아라~머리 아프다'라는 반응을 보였던 할머니들은 시간이 흐르면서 '미술선생, 나 이런 것도 그려보고 싶어지데?'라고 제안할 정도로 그림 그리기에 빠져들었다는 후문이다.
 
할머니들과의 서먹했던 첫 만남부터 난생 처음 붓을 잡아본 할머니들의 순탄치 않았던 그림 배우기 과정, 할머니들이 그림을 통해 자신들의 상처와 마주하고자 노력한 모습들을 차분하고 담담하게 기록했다.
 
 ▲김순덕 할머니의 작품 <못다 핀 꽃> ⓒ데일리굿뉴스
이 작가는 책에서 할머니들이 깊은 상처를 캔버스 위에 조금씩 꺼내 놓으면서 고통스러워하던 순간, 완성된 그림 앞에서 성취감을 느끼는 순간들을 복원해낸다. 특히 유난히 과묵하던 강덕경 할머니가 작품 <빼앗긴 순정>을 완성해나가는 이야기는 독자들에게 큰 감동을 선사한다.
 
지독하고 끔찍한 고통과 분노, 좌절과 외로움 속에서 살아온 할머니들이 '일본군 성노예제 피해자'라는 이름의 굴레를 벗어나 새로운 삶에 도전하며 생을 마감할 때까지 열정을 불태웠던 순간들을 통해 할머니들의 용기와 마지막 숨결을 생생히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출판사 휴머니스트는 "할머니들 그림은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가 한일 과거사, 여성 인권 문제로 자리 잡아가는 과정에서 기폭제 역할을 했다"며 "이런 그림들이 그려진 과정과 의미를 최초로 기록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