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27일 열린 남북정상회담은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그 가운데 정상회담 만찬 메뉴로 등장한 평양냉면에 대한 관심은 가히 폭발적이었다. 세계 주요 언론은 평양냉면을 이번 정상회담의 '가교 역할', '국수 외교(Noodle Diplomacy)' 등으로 표현하며 집중 보도했다. 특히 미국 CNN 방송은 스튜디오에 요리사가 직접 나와 평양냉면을 즉석에서 만들고 앵커들이 시식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국내에서도 평양냉면의 후폭풍이 뜨거웠다. 음식점을 비롯해 편의점, 마트 등에서는 평양냉면을 찾는 사람들로 문전성시를 이뤘고, 관련업계는 '평양냉면 특수'에 행복한 비명을 질렀다. 실제로 풀무원은 정상회담 이후 자사의 '생가득 평양 물냉면'의 매출이 전주대비 212% 늘었다고 밝혔다. 또 '판문점 선언' 후속 사업으로 남북 간 산림협력이 우선으로 검토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조림사업관련주가 상한가를 기록하기도 했다.
 

 ▲남북정상이 합의한 '4.27 판문점 선언'의 이행을 위한 추진위원회 첫 회의가 지난 5월 3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렸다.ⓒ연합뉴스


남북 경제 봄 찾아오나
4·27 판문점 선언 이후 남북 경제협력(경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벌써부터 경제가 활기를 띠고 있다. 애초 일각에서는 남북 경협과 관련해 '주요 의제로 꼽히지 않을 것'이라는 목소리도 있었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판문점 선언에는 '10·4 선언에서 합의된 사업들을 적극 추진해 나갈 것'과 '1차적으로 동해선 및 경의선 철도와 도로를 연결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이 '한반도 신(新)경제지도' 구상 자료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전달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신경제지도의 구체적인 내용과 북미정상회담 성공 이후 본격적으로 이뤄질 남북 경협을 앞두고 남북 화해 무드가 경제 전반에 가져올 효과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다.
 
경제단체, 민간기업 등은 남북 경협을 위한 물밑 작업이 한창이다. 대한상공회의소와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등 경제계는 발 빠르게 남북 경협 대비를 위한 채비에 나섰고, 건설업계와 개성공단기업 비상대책위원회도 태스크포스(TF)를 꾸리는 등 분주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정부는 2018 남북 정상회담 준비위원회를 '판문점 선언이행추진위원회(추진위원회)'로 전환시키고 지난 3일 첫 회의를 열었다. 추진위원회는 범정부 대북교류사업 체계가 완성되고 남북 경협이 전면적으로 진행될 때까지 한시적으로 사업을 맡는다.
 
남북 경협이 가시화되면 경의선 등 철도와 도로 연결 분야 협력이 가장 먼저 신호탄을 쏠 것으로 전망된다. 판문점 선언에 명시됐듯이 철도 분야 사업은 경협의 핵심으로 꼽힌다. 실제로 김 위원장은 지난 남북정상회담 당시 "문 대통령이 오시면 솔직히 걱정스러운 것이 우리 교통이 불비(不備)해 불편드릴 것 같다"면서 "평창올림픽에 갔다 온 분들이 말하는데 평창 고속열차가 좋다고 하더라"라고 북한의 열악한 철도와 도로 사정을 언급했다. 문 대통령도 이날 "앞으로 북측과 철도가 연결되면 남북이 모두 고속철도를 이용할 수 있다"고 강조한 바 있다.
 
북한의 풍부한 광물자원 개발도 주목 받고 있는 사업 중 하나다. 수요 광물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 한국과 달리 북한에는 희토류와 아연, 마그네사이트, 흑연, 몰리브덴 등 각종 광물자원이 매장돼있다. 광물 중 일부는 세계 10위권의 매장량과 생산량을 자랑한다. 북한의 광물 수출은 14억 6,000만 달러로 전체 수출의 52%를 차지하며 북한 경제를 지탱하고 있다. 한국광물자원공사에 따르면 10년간 주요 광물 수입을 북한의 광물로 대체하면 45조원에 달하는 경제적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남과 북이 협력하면 인적·물적 자원을 함께 활용하고 소비투자 증대에 따른 엄청난 시너지 효과가 나올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남북 경협이 빠른 시일 내에 진행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아직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있는 상황이며, 북핵 폐기와 국제사회의 강력한 대북제재 완화에 대한 합의가 먼저 이뤄져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조명균 통일부 장관도 지난 4일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국면을 고려해 남북 간 경제협력을 수면 위로 추진하는 것은 뒤로 미루고 있다"고 설명했다. 남북 경협까지 앞으로도 넘어야 할 산이 무수히 많다. 섣부른 낙관보다는 냉철한 판단과 검토를 뒷받침으로 한 철저한 준비과정을 거쳐야 남북경제에도 봄이 찾아올 것이다.
(위클리굿뉴스 5월 13일, 25호 기사)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