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54개 사립대 중 137개 대학이 외부에서 돈을 차입해 경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빚 없는 사립대는 광주대, 대신대 등 단 17개교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부채비율이 높은 대학 가운데는 한영신학대(21.5%) 등과 같은 기독교 대학도 포함돼 있는 만큼 기독교 대학들의 재정문제도 점검이 필요한 실정이다.

전국 154개 사립대의 부채총액은 1조 762억 원으로 대학별로 평균 70억원 가량의 부채를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통계는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노웅래 의원(더불어민주당, 마포 갑)이 교육부에서 제출받은 2016회계연도 사립대학 부채비율(교비회계기준)자료에 의한 것이다. 이 자료에 의하면 국내 사립대의 평균 부채비율은 3.3%였다. 이는 전년도(3.1%) 대비 상승한 수치다.

부채비율은 자기자본에 대한 차입금의 비율로 대학의 부실 여부를 판단하는 지표이다. 높을수록 빚이 많다는 의미다. 154개 사립대 중 평균 부채비율 3.3%보다 부채비율이 높은 학교는 건국대, 경희대, 연세대 등 56개교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전국 사립대 가운데 부채비율이 가장 높은 대학은 한중대로 50.9%에 달했다. 이어 부산외국어대(42.4%), 한영신학대(21.5%), 케이씨대학교(20.6%), 예원예술대(19.5%), 인천가톨릭대(19.1%)가 뒤를 이었다.

한중대는 15년 부채비율 38.5% 대비 무려 11.4%나 부채가 증가했다. 부산외국어대의 경우 지난해와 순부채 금액은 571억원 으로 동일했으나 기본금이 1,350억 원에서 1,347억 원으로 감소해 지난해 대비 부채비율이 소폭(0.1%) 상승했다.

전국 사립대 가운데 부채가 가장 많은 대학은 연세대학교로 1,584억원에 달했다. 이어 중앙대학교 (696억), 부산외대(571억), 경희대(547억), 동국대 (438억), 한양대(403억)로 뒤를 이었다.

특히 연세대의 경우 2015년 순부채 911억 대비 673억 원이나 부채가 증가했다. 그로 인해 부채비율은 2015년 5.1%에서 2016년 8.9%로 3.8%나 증가했다. 반면 중앙대의 경우 2015년 순부채 740억 원 대비 44억 원 감소했다.

한편 서울시내 주요사립대의 경우 추계예술대를 제외하고는 모든 학교에서 부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의 경우 성신여대와 서울기독대, 추계예술대 모두 부채가 0% 였으나 2016년 성신여대 2,000만원, 서울기독대 20억 원의 부채가 새롭게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노웅래 의원은 “사립대학의 과도한 부채는 무리한 외형확장에 따른 것”이라고 지적하며 “사립대의 부채 비율을 줄이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 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서울기독교대학교 관계자는 해당 보도와 관련  노 의원측의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면서 “서울기독대학교는 2016년 부채로 남아있던 20억 원을 6월 28일 자로 변제한 상황이며 이로 인해 대학구조개혁평가 컨설팅 이행점검에서 서울기독대학교는 2018학년도 신입생 국가장학금 Ⅰ유형 지원 가능 대학과 2018학년도 신입생 국가장학금 Ⅱ유형 신청 가능한 대학이 됐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