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2월 개성공단 가동이 전면 중단된 이후 남북 간 교역이 전무한 것으로 드러났다.
 
통일부가 20일 발간한 '2017 통일백서'에 따르면, 지난해 남북 교역액은 반입 1억8천600만 달러, 반출 1억4천700만 달러 등 3억3천300만 달러로 집계됐다.
 
교역액 규모로는 1999년(3억3천300만 달러) 이후 가장 적다.
 
이마저도 반입은 전액, 반출은 99%인 1억4천500만 달러가 개성공단 가동이 중단된 지난해 2월 10일 이전의 교역액으로, 북한의 4차 핵실험(지난해 1월6일)에 이은 장거리 미사일 발사(2월7일)에 대한 우리 정부의 대응으로 개성공단 가동이 전면 중단된 이후로는 사실상 전무하다.
 
개성공단 외에 일반교역과 위탁가공은 2010년 북한의 천안함 폭침 사건 여파로 취해진 5·24 대북 제재로 2011년 이후 이미 끊긴 상태다.
 
다제내성결핵 치료사업을 하는 민간단체 유진벨재단의 결핵약 무상지원 등 인도적 지원 200여 만 달러만이 개성공단 중단 사태 이후 유일한 남북교역액으로 집계됐다.
 
사회문화 교류도 전무하기는 마찬가지다. 개성 만월대 남북공동발굴조사사업과 겨레말큰사전 남북공동편찬사업 등 문화유산 교류는 물론, 종교 교류, 체육 교류, 교육·학술 교류 등이 모두 중단된 상태다.
 
통일부는 백서에서 "정부는 북한이 우리의 생존과 안보를 위협하는 핵·미사일 개발을 포기하지 않는 상황에서 교류협력과 관련, 과거와 다른 접근법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국내 탈북민 규모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3만 212명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입국한 탈북민은 모두 1천418명으로 2013년(1천514명) 이후 가장 많은 숫자를 기록했다. 또한 여성(1천119명)이 79%를 차지했다.
 
연령별로는 30~39세(29.1%)와 20~29세(28.4%) 등 사회 적응력이 높은 20대와 30대가 전체의 58%를 차지했다. 출신 지역은 함경북도(62%), 양강도(15%), 함경남도(9%) 순으로 함경도와 양강도 출신이 86%로 대다수였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