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윤리실천운동(이사장 홍정길)과 기윤실 부설 기독교윤리연구소(소장 이장형)는 27일 100주년기념교회 사회봉사관에서 '목회자 윤리 세미나'를 개최했다.
 
▲기독교윤리실천운동은 27일 100주년기념교회 사회봉사관에서 목회자의 성윤리와 경제윤리를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했다.ⓒ뉴스미션
 
이날 ‘목회자의 경제윤리’를 주제로 발제한 신기형 목사(이한교회)은 “목회를 성직이라 부르는 이유는 목회가 일반직업과 다른 것을 추구하기 때문”이라면서도 “목회자도 경제 활동에서 자유롭지 못하며 돈의 필요와 힘을 동일하게 느끼며 살고 있다”고 했다.
 
신 목사는 경제 문제와 관련해서 목회자에게 요구하고 기대하는 바는 ‘신뢰’로 규정하고, 목회자가 신뢰를 받기 위해서는 목회자들의 경제 활동이 성도들이 본받을만한 모델이 돼야 한다는 견해를 피력했다.
 
이와 더불어 성도들이 낸 헌금을 목회와 사역에 책임감 있게 사용하고, 이 과정 가운데 하나님을 향한 믿음이 실제로 작용함을 성도들에게 증거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신 목사는 또한 성도들이 헌금과 교회 재정 문제에 매우 민감함을 알고 교회의 재정 마련부터 집행과 보고에 이르기까지 최선을 다해 준비하고, 목회자의 재량권에 분명한 한계를 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목회자의 성윤리’를 주제로 발제한 신원하 교수(고신대)는 “목회자의 성폭력 사건은 그 자체도 큰 문제지만, 기독교에 대한 사회적 불신을 낳고 결국 복음 사역에 엄청난 걸림돌로 작용한다고 점에서 훨씬 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했다.
 
신 교수는 "목회자의 성적 탈선이 성도들이 성직에 기대한 신뢰를 배신한 것이자 성도들이 성직에 부여한 권위를 악용한 사건"이라며 목회자의 성적 탈선 유형을 약탈자형 · 배회자형 · 연인형으로 분석한 구쉬(David Gushee) 교수의 연구를 소개하기도 했다.
 
신 교수는 목회자가 성적으로 탈선하는 원인에 대해서는 목회자가 심한 스트레스 속에 영적으로 탈진하게 되는 구조적 문제를 들었다.
 
그렇기 때문에 목회자도 성적인 유혹에 언제나 넘어갈 수 있음을 인지하고 목회자로서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경고체계와 지원체계가 동시에 필요하며 윤리강령과 교회법의 보완도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세미나를 주최한 이장형 소장은 “그 동안 ‘목회자윤리’에 대해 논한 것은 없었다”면서 “목회윤리를 넘어 목회자윤리가 한국교회에 바람직하게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계속 연구하고 보완해나가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