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세대가 1,000만을 눈앞에 두고 있다. 3대가 옹기종기 모여 살던 전통적 가족 개념이 확 달라졌다.
 
최근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주민등록 1인 세대는 936만 7,439세대를 기록했다. 사상 처음으로 1인 세대 비중이 전체 40%를 넘었다. 석 달 전인 6월 말보다 1.36%p 늘었다.
 
2인 세대가 23.8%가 뒤를 이었고, 4인 세대 이상 19.0%, 3인 세대 17.1% 순으로 나타났다.
 
통계를 보면 2인 이하 세대는 무려 63.9%에 달했다. 10세대 가운데 6세대 이상이 2인 이하인 셈이다. 1인 세대가 늘어난 만큼 4인 이상 세대 비중은 2016년에 비해 6%p 이상 감소했다.
 
문제는 1인 세대 상당수가 미혼 청년이 아닌 고령층이란 점이다. 이번 조사를 살펴보면 70대 이상이 18.6%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60대가 17.7%, 50대 17.2%로 뒤를 이었다. 60대 이상이 1인 가구에서 36%가 넘는다. 오히려 젊은 층에서는 30대 16.5%, 20대 15.7% 순으로 나타났다.
 
 ▲주민등록 통계상 ‘1인 세대’가 936만 7,000여 세대에 달해 사상 처음 전체 세대의 40%를 돌파한 가운데 1인 세대의 가장 많은 비중을 차 지하는 세대는 70대 이상의 고령층으로 나타났다. (사진출처=게티이미지뱅크)

전문가들은 이 같은 조사결과를 고려하면 1인 세대가 당분간 지속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한다. 부모와 자녀를 구성원으로 하는 기존 전통적인 가족 개념에 변화는 불가피해졌다는 분석이다.
 
1인 세대가 가져올 사회 전반의 구조적 변화상에 시급히 대응해야 하는 이유다. 1인 세대가 늘어난 만큼 생활상 변화에 맞게 복지·행정 등 정책 전반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기존 행정이나 복지 등은 대체로 3~4인 세대 위주로 짜여 있어 문제로 지적된다. 급증하는 1인 세대가 정책적 사각지대에 방치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고령층 외에 젊은 층에서도 1인 세대가 늘어나는 원인이 집단생활에 대한 부적응”이라며 “이들이 심리적 지지의 끈을 놓쳐버리지 않도록 다양한 사회적 서비스가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뿐만 아니라 가족 별리, 해체 등을 겪는 중장년기의 1인 가구원에게는 정신건강을 살피는 서비스, 고령의 노인들을 위해서는 안정된 돌봄 등 실제적인 노력이 잇따라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고규창 행안부 차관은 “1인 세대 증가 추세가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며 “1인 세대의 라이프 스타일이 사회, 경제, 문화 등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돼 이에 맞는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김신규 기자]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