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음식점 식재료의 3분의 1은 수입산 농수산물이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산 농수산물 가격 상승과 코로나19에 따른 경영난 등이 원인으로 작용했다.
 
 ▲외식산업硏, 외식업체 300곳 조사(사진제공=연합뉴스)

4일 한국외식산업연구원이 지난해 10월 19일부터 11월 1일까지 외식업체(음식점) 300곳을 대상으로 주요 식재료 51개 품목의 원산지를 조사한 결과 수입산 비중은 평균 34.1%로 나타났다.

재료 유형별 수입산 비중은 수산물이 64.9%로 가장 컸고, 축산물(31.7%)과 농산물(18.0%)이 뒤를 이었다.

외식업 업종별로 보면 중식의 수입산 식재료 비중이 47.5%로 가장 컸다. 이어 피자·햄버거·샌드위치(44.6%), 일식(38.2%), 서양식(36.8%), 한식(24.3%) 등이 뒤를 이었다.

치킨 전문점의 수입산 식재료 비중은 7.8%에 그쳤다. 대부분 국내산 닭고기를 사용하고 있다는 의미다.

축산물에서는 소고기의 수입산 비중이 64.8%로 돼지고기(21.7%), 닭고기(21.8%)보다 컸다.

소고기 부위별 수입산 비중은 설도(77.6%)·갈비(71.5%)·불고기(71.1%) 등이 컸지만, 구이용 부위로 분류되는 안심(48.9%)·등심(57.4%) 등은 상대적으로 작았다. 소비자들이 구이용 소고기로는 한우를 선호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농산물에서는 콩(45.5%), 당근(28.2%), 마늘(20.8%) 등의 수입산 비중이 컸다. 쌀은 4.2%에 그쳤다.

가공식품 가운데 김치의 수입산 비중은 61.9%로 컸다.

연구원은 "외식업체가 국내산을 적게 쓰는 이유는 높은 가격, 필요 물량 확보의 한계, 균일하지 않은 품질, 소비자 기호 변화 등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매출은 감소하고 식재료비는 상승하는데 음식 가격을 올리지도 못하는 지금의 외식업체 상황은 결국 폐업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농축산물 물가지수는 134.1로 지난해 같은 달 112.8보다 18.9% 상승했다. 이 지수는 지난해 11월 121.7에서 12월 122.6, 지난 1월 127.4 등 꾸준히 오르는 추세다.

연구원은 "정부가 외식업체에 국내산 식재료를 바우처 형식으로 지원한다면 음식점뿐만 아니라 국내 농축수산업 전반에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언했다.

[김민주 기자]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