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체계CG(사진 제공=연합뉴스)

시대에 부적합하다는 지적을 받는 호봉제를 운용 중인 기업이 아직도 절반이 넘는 것으로 드러났다.
 
26일 고용노동부는 작년 국내 100인 이상 사업장 가운데 54.9%가 호봉제를 운용한다고 밝혔다.
 
호봉제 사업장 비율은 2017년 60.3%, 2018년 59.5%, 2019년 58.7%로 눈에 띄는 변동이 없다가 지난해 3.8%p 하락했다.
 
지난해 1월 노동부는 ‘직무·능력 중심의 임금체계 확산 지원 방향’을 발표하며 호봉제 중심의 임금체계 개편에 시동을 걸었다.
 
호봉제는 근속 연수에 따라 임금이 오르는 임금체계로 과거 고성장 시기에는 노동자의 장기 근속을 유도하는 역할을 했다. 반면, 저성장 고령화 시대인 현대에는 기업의 인건비 부담을 과도하게 늘린다는 지적을 받는다.
 
이에 따라 직무급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직무급은 직무 난이도, 업무 수행 능력, 맡은 역할의 가치 등을 기준으로 하는 급여 방안이다.
 
하지만 연공급 임금체계의 직무급 전환은 쉽지 않은 실정이다.
 
우선 노조의 반발이 만만치 않다. 임금 삭감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또한 직무급을 도입하려면 개별 직무의 직무 평가가 필요한데 이 과정에서 객관성과 공정성 논란도 일 수 있다는 이유다.
 
임금체계 전환에 활용할 수 있는 ‘직무평가도구’도 개발·보금 중이다. 직무평가도구는 개별 직무의 상대적 가치를 매기는 기준을 가리킨다.
 
노동부는 보건의료, 은행, 정보기술(IT) 등 9개 업종의 직무평가도구를 개발했는데 최근 건설업과 조선업을 추가했다.
 
노동부는 은행업과 철강업의 직무평가도구 활용 매뉴얼과 업종별 직무평가도구 활용 모범 사례집도 발간했다. 이들 자료는 정부 포털 사이트 '임금직무정보 시스템(www.wage.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화평 기자]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