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환경산업체 해외진출 지원 사업을 통해 달성한 지난해 해외시장 수주실적이 약 1조4,845억원이라고 24일 밝혔다.(사진=연합뉴스) |
지난해 환경산업체 해외진출 지원 사업을 통해 달성한 해외시장 수주실적이 약 1조 4,900억 원에 달했다.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지난해 환경산업체 해외진출 지원 사업으로 총 1조 4,845억 원의 해외시장 수주 실적을 달성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는 전년(1조 4,120억 원) 대비 5%(725억 원) 증가한 수치다.
환경부는 비대면 소통창구(플랫폼) 조기 구축, 국내외 격리 비용 지원 등 환경 기업들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지원정책을 펼치고 있다.
그 결과 지난해 환경기업들은 폴란드 폐기물 소각로 건설사업(4,900억 원·포스코건설) 일본 태양광 발전사업(1,190억 원·도화엔지니어링), 인도네시아 산업용수 공급사업(776억 원·대진환경산업) 등 대형 사업을 수주하는 데 성공했다.
또한 이집트 폐기물 선별 처리시설 납품(101억 원·제이에스티), 미얀마 고효율 쿡스토브 보급(51억 원·에코아이), 페루 지하수 상부 보호시설 구축(20억 원·큰산기술) 등 개발도상국에 대한 기자재 납품 성과를 이뤘다.
환경부는 올해도 국내기업의 해외수출 확대를 위해 사업 초기부터 수주 단계까지 단계별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한국환경산업기술원에 구축한 비대면 온라인 소통창구(플랫폼)를 활용해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 등 해외진출 유관기관과 함께 기업 수출 상담회를 수시로 운영할 예정이다.
또한 공적개발원조(ODA)를 통해 유망국의 환경정책 개선 및 프로젝트를 발굴하는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개별 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을 검토하는 예비타당성 조사도 지원할 방안이다.
특히 탄소중립에 기여하는 해외 폐기물 관리 개선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기후변화 대응 관련 타당성 조사를 지원하는 등 한국형 환경관리 사업의 본보기를 해외에 적극적으로 전파할 예정이다.
아울러 국내 우수한 환경기술이 해외진출 대상국의 환경규제 및 여건에 적합하도록 현지 실증을 지원하는 국제공동현지사업과 현지 시제품 제작 등 기업 맞춤형으로 지원하는 해외수출기업화 지원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김동구 환경부 녹색전환정책관은 "해외진출에 어려움을 겪는 환경기업을 상대로 다양하고 적극적인 지원정책을 추진하겠다"며 "탄소중립과 그린뉴딜을 연계한 한국형 환경관리 사업 본보기의 세계화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