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 북한의 노동당 8차 대회가 어떤 새로운 대내정책과 대외메시지를 전할지가 관심사였다. 그러나 결론은 새로운 내용과 정책노선은 제시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월 7일부터 12일까지 개최됐던 북한의 8차 노동당대회는 김정은 집권 10년과 맞물려 열리는 만큼 국제사회의 이목이 쏠렸다. 그럼에도 막상 미국과 한국을 향해서는 '강대강·선대선'이라는 가변적인 대응을 예고한 채 국방력 강화 의지만 재천명했다.
 
 ▲지난 1월 7일부터 12일까지 개최됐던 북한의 8차 노동당대회는 새로운 내용과 정책노선은 제시하지 못한 가운데 마무리됐다. (사진출처=연합뉴스)

대내적으로는 경제 실패를 자인했지만 그에 대한 새로운 전략노선이나 야심 찬 목표는 발표하지 못했다.
 
전문가들은 이를 두고 그동안의 북미협상 교착과 경제난 장기화 속에 내세울 성과도, 별다른 묘수도 없는 북한의 상황이 반영된 결과라는 시각이다.
 
특히 당대회가 예고되면서 가장 많은 관심이 쏠린 지점은 북한이 새 대미·대남 정책방향을 내놓을지의 여부였다.
 
오는 20일(수) 조 바이든 행정부가 들어서는 가운데 향후 북미 관계의 향방을 어림잡을 수 있는 가늠자라고 봤기 때문이다.
 
하지만 북한은 전향적인 제안을 내놓기보다 미국과 남측의 태도에 따라 대응하겠다는 유보적이고 수동적인 태도를 보였다.
 
김 총비서는 당 중앙위 사업총화 보고에서 "새로운 조미(북미)관계 수립의 열쇠는 미국이 대조선 적대시 정책을 철회하는 데 있다"며 "강대강, 선대선의 원칙에서 미국을 상대할 것"이라고 밝힌 점이 이를 잘 보여준다.
 
남측에 대해서도 "북남관계가 회복되는가 못 되는가 하는 것은 전적으로 남조선 당국의 태도에 달려있으며 대가는 지불한 것만큼, 노력한 것만큼 받게 돼 있다"고 강조한 점도 마찬가지다.
 
오히려 중국과 러시아 등 전통 우방과의 외교에 무게를 싣는 모습이 엿보인다. 북한과 중국은 이번 당대회 기간에 축전과 답전을 두 차례나 주고받으며 돈독한 관계를 과시했다.
 
이외에도 북한은 핵기술을 앞세우며 국방력 강화에 대한 의지를 강하게 드러냈다. 이는 지난 5년간 뚜렷한 대내외 성과가 없는 상황에서 북한이 외부에 내세울 수 있으며, 향후 목표로 제시할 수 있는 유일한 분야가 군사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김 총비서는 당대회 결론에서 "핵전쟁 억제력을 보다 강화하면서 최강의 군사력을 키우는데 모든 것을 다해야 한다"고 밝힌 점이 이를 대변한다.
 
국방력에 대한 북한의 강조는 7차 당대회 이후 5년간 다양한 전략미사일을 개발하는 등 그나마 뭔가 결과물을 내놓았고 앞으로 성과를 가시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것도 국방분야라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전체적인 노선에서도 이렇다 할 변화는 엿보이지 않는다.
 
앞서 7차 당대회에서 경제 건설과 핵무기 건설을 함께 추진한다는 '핵·경제 병진 노선'을 제시했던 것을 고려하면 여러모로 국방력 강화에 대한 의지를 재천명한 셈이다.
 
문제는 북한이 국방력 강화를 재차 공식화했지만, 기술력 수준 등을 고려하면 단기적으로 새로운 국방목표에 달성하는 것 역시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는 게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한편 김 총비서가 경제부문과 관련해 개회사에서부터 "내세웠던 목표는 거의 모든 부문에서 엄청나게 미달됐다"고 자인했지만, 획기적인 목표를 제시하지는 못했다.
 
구체적으로 제시한 목표는 ▲평양에 올해부터 매년 1만 세대씩 총 5만 세대 주택 건설 ▲검덕지구에 2만5천 세대 건설 ▲시멘트 800만t 생산 및 매년 시·군에 1만t씩 보장 정도에 그친다.
 
특히 이번에는 앞선 대회와 달리 구호도 사전에 제시하지 않았고, 노선도 공개하지 않았다. 이는 예년과 다르게 특별히 보여줄 것이 없는 상황에서 북한이 당대회 일정만 8일에 걸쳐 늘인 가운데 형식을 갖춰 '보여주기'에 공을 들인 모양새에 그친 셈이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