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본격화된 지난 3월부터 6개월간 전국 70개 주유소가 문을 닫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시내 한 주유소(사진출처=연합뉴스)

14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이달 9일 기준 전국의 주유소는 1만1,384개로, 코로나가 본격적으로 확산하기 시작한 지난 3월 1일(1만1,454개)보다 70개가 줄었다.

올해 1~2월 문을 닫은 주유소가 10개인 점을 고려하면, 코로나 이후 영업을 중단한 주유소가 한 달에 배 이상 늘었음을 알 수 있다. 지난해 통틀어 문 닫은 주유소 숫자는 80개였다.

영업을 접는 주유소가 늘어난 것은 장사가 안돼서다.

한국주유소협회에 따르면 올해 1∼7월 휘발유·경유 등 주유소 판매량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2.56% 줄었다. 휘발유(-0.38%), 경유(-3.25%) 등이다.

특히 올여름 유례없는 긴 장마로 관광객이 줄면서 관광버스 운행 등이 감소해 경유 수요는 더 많이 줄었다. 7월 휘발유(차량판매용) 판매량은 1년 전보다 1.89% 늘었지만, 경유는 4.57% 감소했다.

한국주유소협회 관계자는 "도심은 그나마 상황이 나은 편이지만, 지방 국도변 주유소들의 상황은 훨씬 심각하다"고 말했다.

이들 주유소는 대부분 폐업 대신 휴업을 택한다. 주유소는 큰 기름 탱크를 갖춰야 하므로 주유소를 접을 때는 토양 오염을 정화해야 한다. 여기에 시설 철거비까지 합치면 주유소 한 곳당 폐업 비용이 1억원에서 많게는 2억원가량 된다는 게 업계 전언이다. 장사도 안 되는데, 막대한 폐업 비용 때문에 마음대로 접을 수도 없는 실정이다. 지방 도로변에 영업하지 않고 장기간 방치되는 '흉물' 주유소가 늘어나는 원인이다.

주유소 사업자들이 공제조합을 통해 이런 비용 부담을 덜도록 하는 제도적 기반은 마련됐지만, 사실상 유명무실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업계는 폐업 주유소 철거와 정화 비용을 정부가 지원해달라고 호소한다.

최근 주유소 경영난이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려는 정부의 에너지 전환 정책과도 관련이 있는 만큼 정부의 직접 지원이 절실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정부는 난색을 보인다.

산업통상자원부 고위 관계자는 "주유소 업종만 가게 문을 닫는다고 정부가 돈을 대줄 수는 없는 노릇"이라며 "다만 주유소 사업자들이 공제조합을 만들어 관련 사업을 한다면 정부도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겠다"고 말했다.

이어 "공제조합이 어떻게 재원을 마련할지 등의 구체적인 방안을 가져오면 정부도 나름의 성의를 보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