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 유체가 담긴 그릇이 들어있는 서봉총 남분의 큰 항아리.(사진제공=연합뉴스)

1,500년 전 신라의 왕족이 돌고래, 남생이, 성게, 복어 등을 먹고, 제사에 사용했다는 사실이 처음 밝혀졌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일제강점기인 1926년과 1929년에 조사했던 경북 경주 서봉총을 2016∼2017년 재발굴한 성과를 담은 보고서를 발간하며 이러한 연구성과를 7일 발표했다.

서봉총은 사적 제512호 경주 대릉원 일원에 있는 신라 왕족의 무덤 중 하나로 서기 500년 무렵 축조됐다. 먼저 만들어진 북분에 남분이 나란히 붙어 있는 쌍분이다.

무덤 이름은 당시 스웨덴(한자로 서전·瑞典) 황태자가 조사에 참여한 것과 봉황(鳳凰) 장식 금관이 출토된 것을 고려해 서봉총(瑞鳳塚)으로 붙여졌다.


국립중앙박물관에 따르면 재발굴에서는 무덤 둘레돌(호석·護石) 주변에 큰 항아리를 놓고 무덤 주인에게 음식을 바친 제사 흔적이 발견됐다. 이곳에서는 총 27개의 제사용 큰 항아리가 발굴됐는데 북분에 10개, 남분에 13개가 있고, 경계가 모호한 것이 4개 있다.

27개의 큰 항아리에서는 종(種)과 부위를 알 수 있는 동물 유체 총 7천700점이 확인됐는데 조개류가 1천883점, 물고기류가 5천700점으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국립중앙박물관 김대환 학예연구사는 "발굴조사를 통해 당시 무덤 주인을 위해 귀한 음식을 여러 개의 큰 항아리에 담아 무덤 둘레돌 주변에 놓고 제사를 지내는 전통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어 "이런 제사 형태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같은 기록에도 나오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특히 남분에서 발굴된 큰 항아리들에서는 조개, 물고기 이외에 바다 포유류인 돌고래, 파충류인 남생이, 성게류가 확인됐고, 신경 독을 제거하지 않으면 먹기 어려운 복어도 발견됐다.

김대환 연구사는 "큰 항아리 속 동물 유체들은 신라 무덤 제사의 일면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당시 사람들의 식생활을 알려주는 좋은 자료"라며 "특히 남분 큰 항아리의 동물 유체를 봤을 때 당시 신라 왕족들이 복요리, 성게, 고래 고기 등으로 아주 호화로운 식생활을 즐겼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조개는 산란기 때 독소가 있어 식용하지 않는 점, 또 청어와 방어의 회유 시기를 고려할 때 이들은 대부분 가을철에 포획된 것으로 추정된다"며 "당시 제사가 무덤 축조 직후에 실시됐던 것을 고려하면, 남분은 가을에 완성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