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을 받아 밤늦게 문을 여는 공공 심야약국이 전국에 50곳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 심야약국은 응급 환자가 발생할 수 있는 심야 시간대까지 운영하는 약국으로 일반적으로 오후 10시부터 0시 또는 다음날 오전 1시까지 영업한다.
 
 ▲원격의료(PG)(사진제공=연합뉴스)

6일 대한약사회에 따르면 공공 심야약국은 전국에 총 49곳뿐이다. 전체 약국수가 2만4,000여곳에 이르는 점을 고려하면 심야시간대 응급약국 접근율은 0.2%에 불과하다.

지역별로는 경기 16곳으로 가장 많고, 대구 13곳, 인천 8곳, 제주 7곳, 광주 2곳, 대전 2곳, 충남 1곳 등이다.

심지어 인구가 밀집된 서울과 부산 등에도 공공 심야약국이 없다. 강남역 등 번화가 인근에는 늦은 시간까지 운영하는 약국이 있지만,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공적인 지원을 받은 정식 심야 운영은 아니다.

공공 심야약국은 약사가 복약지도 등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해 야간과 휴일 진료 공백 해소에 기여하고 소비자의 의약품 구매 불편 해소, 의약품 오남용을 예방할 수 있다. 약사법상 복약지도는 의약품의 명칭, 용법·용량, 효능·효과, 저장 방법, 부작용, 상호작용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행위를 말한다.

이런 장점에도 공공 심야약국이 극소수에 그치는 주된 이유로 약사회는 정부의 지원 부족을 지목했다.

약사회는 "각 지자체에서 공공심야약국 운영 조례를 제정해 인건비 등 사업비를 지원하는 동안 중앙정부는 어떤 일도 하지 않고, 한 푼의 예산도 지원한 바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렇게 공공 심야약국조차 제대로 뿌리내리지 못한 상황에서 정부가 심야 의약품 접근성을 높인다는 명목 아래 정보통신기술(ICT) 규제 샌드박스 실증 특례로 이른바 의약품 자동판매기(원격 화상 투약기)를 도입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약사회는 발끈했다.

약사회는 "보건복지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으로 원격·비대면 산업 촉진 실적 만들기에 급급해 의약품 자판기를 도입해 국민 건강을 실험하려고 한다"며 "(그보다)공공 심야약국 제도를 내실화하는데 먼저 나서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